복귀하겠단 사직 전공의 199명 중 산부인과는 고작 1명
페이지 정보

본문

올 3월부터 수련을 이어갈 레지던트 모집에 빅5 병원국내 5대 대형 병원 지원자가 10명 안팎으로 지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2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 의료진의 모습. 2025.1.2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다음달부터 병원 현장에 복귀하겠다고 밝힌 사직 전공의 199명 중 산부인과 지원자는 단 1명에 불과했다. 수년간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분야 의사는 배출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2일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 받은 2025년 상반기 사직 레지던트1년차~4년차 모집 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원서를 낸 사직 전공의 199명 중 24명이 내과 전공의다.
정형외과22명가 그 뒤를 이었고, 신경외과14명, 가정의학과11명, 영상의학과·응급의학과각 13명, 마취통증의학과·이비인후과·진단검사의학과각 10명, 소아청소년과·정신건강의학과각 9명, 신경과·외과각 7명 순이었다.
비뇨의학과·성형외과·심장혈관흉부외과·안과가 각 5명, 재활의학과·피부과 각 4명, 방사선종양학과 3명, 직업환경의학과·핵의학과 각 2명이었고 예방의학과 지원자는 없었다. 이 과는 전공의가 선발 과정에 따라 합격한다면, 절차를 거쳐 당사자의 수련이 승인되는 방식이다.
특히 산부인과 지원자는 1명뿐이었다. 출생아수 감소, 낮은 수가, 의료사고 부담 등으로 필수의료 분야 가운데 산부인과 의사 배출이 어렵다는 우려는 꾸준히 제기돼 왔는데, 이번 사직 전공의 모집으로 산부인과 인프라 붕괴 상황이 또 다시 확인됐다.

레지던트 사직 전공의 모집 결과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복지부는 지난달 수련을 이어가겠다는 사직 전공의에게 사직 전에 수련한 병원 및 전문과목에서 수련을 재개할 수 있도록 수련특례를 적용하기로 했고, 군 입영 유예도 약속한 바 있다.
그러나 사직 전공의레지던트 9220명 중 199명2.2%만이 이번 모집에 지원하는 등 9000여명에 달하는 대다수 전공의는 현장에 돌아오지 않겠다는 반응이다. 결원분에 대해선 이달 중 추가 모집이 진행되는데, 이때는 유예가 어렵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형상기억 종이 10억에 삽니다"…부정선거론 불 붙은 곳 [이슈] 25.02.02
- 다음글장민호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안 일어나요" 25.02.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