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한 녀석, 일본서 또 날아왔네"…봄마다 찾아오는 불청객 주의보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지긋지긋한 녀석, 일본서 또 날아왔네"…봄마다 찾아오는 불청객 주의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4회 작성일 24-03-25 06:55

본문

뉴스 기사
봄과 함께 찾아온 일본뇌염 모기
질병청, 감시활동 시작


quot;지긋지긋한 녀석, 일본서 또 날아왔네quot;…봄마다 찾아오는 불청객 주의보


질병관리청은 제주·부산·경남·전남 등 남부 4개 시도부터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질병청은 매년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를 채집하고 감시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내달부터 10월까지는 전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를 채집해 병원체 감염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감시 결과는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에 공개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채집되면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할 방침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작은빨간집모기는 대개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그 수가 정점에 이른다. 이 모기에게 물려 일본뇌염에 걸리면 대부분은 발열과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자 250명 중 1명꼴로 바이러스가 뇌로 퍼지면서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시기는 기후 변화에 따라 점차 빨라지고 있다”며 “적극적인 감시를 통해 주요 발생 지점을 집중적으로 방제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일본뇌염 에방백신 접종을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백신을 접종하는 것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야외 활동 시엔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의 모기물림 예방수칙을 준수해달라고 질병청은 당부했다.

“모두 자동이네”…28억 로또 잭팟 수동 없었다

“100만원 부쳤어요” 알고보니 1000만원 송금…‘0’ 추가입력 빈번, 알아두면 좋은 예보 ‘반환 서비스’

대통령실 “26일 전공의 면허정지 절차대로 진행”...강경 기조 재확인

인천서 KTX 타고 영호남·강릉 간다

그곳 털 뽑았을 뿐인데 혼수상태…한달만에 깨어난 기적男 ‘화제’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07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42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