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제보] 자퇴후 재입학하는 상위권 학생들…"의대병 걸린 나라 같...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OK!제보] 자퇴후 재입학하는 상위권 학생들…"의대병 걸린 나라 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5회 작성일 23-06-04 07:02

본문

뉴스 기사
내신 점수 리셋 위해 자퇴 후 재입학 선택
"의학 계열 수시 전형 완화된 것이 원인"
"내신 경쟁 완화해야 재입학 문제 줄일 수 있어"

서울=연합뉴스 조서연 임지현 인턴기자 = "내신 낮게 나오면 고등학교 1, 2학년 때 자퇴하고 재입학해서 점수 다시 챙기려는 애들 많아요. 작년에도 봤고 올해도 봤어요."

"예전엔 의대 지망 학생들이 낮은 점수가 나오면 높은 내신 등급을 받기 쉬운 학교로 전학 가거나 정시로 눈을 돌리곤 했는데, 요즘은 자퇴하고 다시 입학하는 경우가 있어요. 오죽하면 의대병에 걸린 나라라는 말이 나오겠어요."


PYH2023051003230001300_P2.jpg고3 전국연합 학력평가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고3 전국연합 학력평가가 치러진 10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시험을 보고 있다. 2023.5.10 jieunlee@yna.co.kr

최근 높은 내신 점수를 얻기 위해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재입학하려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이는 주로 의학 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1등급 초·중반대 학생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종의 대입 전략이다. 현재의 내신 점수와 정시 전형으로는 의대 진학이 어렵다고 판단될 때 자퇴 후 재입학이라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다.

서울 모 고등학교 교사 A씨는 "자퇴 후 재입학하면 내신이 초기화되니까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재입학하고 나서 성적이 더 낮아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광주 모 고등학교의 진학지도 담당 교사 B씨는 "예전보다 의학 계열의 수능 최저 등급이 완화되면서 수시로 대학 가는 것이 더 쉽기 때문에, 내신이 안 나오면 자퇴하고 재입학해서 내신 점수를 다시 노리는 학생들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대입 전략으로 재입학 권유하는 입시컨설팅 업체

자퇴 후 재입학을 대학 입시 전략으로 세워주는 입시컨설팅 업체도 있다.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퇴 후 어떤 고등학교에 재입학할 수 있는지, 시기는 언제쯤으로 해야 하는지 등 구체적으로 재입학 전략을 설계해주는 것이다. 관련 업체 관계자는 "최근 10명이 넘는 학생에게 재입학 전략에 대한 상담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의 입시상담가는 "자퇴 후 재입학 사례는 꽤 있다. 드물지도 않으니 필요하면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권유했다.

◇ 교육청 "선택에 의한 자퇴 및 재입학, 제재 어려워"

과거 의대 입시를 준비했던 대학생 C씨는 "의대에 입학하기 위해 재수, 삼수도 했는데 요즘 고등학생 신분으로 1∼2년 더 남아있는 것이 뭐가 그리 큰 문제겠느냐"고 말한다.

그러나 일부 고등학생 사이에서는 "자퇴생이 늘면 학생 수가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1등급 비율도 줄어든다", "최상위권 학생들이 재입학하면 내신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힘들다"와 같은 불만이 나온다.

이에 서울시 교육청 관계자는 "학업 중단 및 자퇴는 본인이 결정하고, 해당 학교가 재입학을 허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말했다.

◇ 교육계 "대학 서열화,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 격차가 원인"

자퇴 후 재입학은 학벌을 따지는 대학 서열화와 입시 중심 교육이 만든 구조적인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 모 고등학교 교사 D씨는 "고등학교 과정을 밟다 보면 잠깐 방황하는 사이 좋지 않은 결과를 얻을 때도 있는데, 대학에 가려다 보니 앞이 깜깜해져 어쩔 수 없이 자퇴 후 재입학을 선택하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라며 "교육제도를 만든 어른들의 문제이지, 재입학 제도를 이용하는 아이들을 비난할 수는 없다"며 안타까움을 내비쳤다.

장승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위원은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의 격차 문제 등 학벌을 따지는 입시 중심 교육으로 아이들을 내몰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에 좋은 대학을 만들어 재정 지원을 하는 등 대학 서열화를 해결하고, 블라인드 채용 등을 통해 학벌이 우선되지 않는 노동시장을 만드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다. 현재로서는 고교학점제와 절대 평가제도를 취지에 맞게 실현해 내신 경쟁 완화 효과를 얻는 것이 재입학 문제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tjdus7605@yna.co.kr

f2022@yna.co.kr

기사 문의나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금요일밤 비극 아비규환…"천둥소리 들리고 사람들이 떨어졌다"
탈출 얼룩말 세로가 진정·마취제를 7발이나 맞은 까닭은
美 유명 경마장서 5주간 말 12마리 죽음…당국, 조사 착수
브래드 피트 "졸리, 양육권 불리해지자 보복성 포도밭 매각"
성전환 선수 나화린, 강원도민체전 경륜 여성부 우승
美 아파트 벽장에 5세 여아 시신…엄마 "입양보내" 거짓말
식중독 걸렸는데 소송당해…대기업의 적반하장
배달료를 계좌이체로 받았을 뿐인데 보이스피싱 연루된 배달기사
강북구 시장서 다투던 동료 상인에 흉기 휘둘러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77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4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