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치명타 응애…두 달 일찍 극성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꿀벌 치명타 응애…두 달 일찍 극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3-10-02 19:28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진드기의 일종 응애는 꿀벌과 애벌레의 체액을 빨아먹어서 꿀벌에게는 치명적인 해충입니다. 그런데 최근 한 연구에서 응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평소보다 두 달가량 빨라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 의미를 이용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전북 김제의 한 양봉농가입니다.

지난 1월 꿀벌이 월동을 잘하고 있는지 벌통을 열어본 농민은 깜짝 놀랐습니다.

벌통 300개 가운데 절반이 넘는 180통에서 꿀벌이 사라진 것입니다.

꿀벌에 치명적인 응애와 따뜻해진 겨울 탓.

다행히 지금은 꿀벌 수가 거의 회복됐지만 올겨울이 또 걱정입니다.

[최규초/양봉농가 : 응애를 확실히 잡아야지 확실히 못 잡으면 벌은 폐사 당합니다.]

진드기 일종인 응애는 꿀벌 유충과 성충에 기생해 체액을 빨아먹고 병원성 바이러스도 옮깁니다.

꿀벌 치명타 응애…두 달 일찍 극성


꿀벌 집단 폐사의 주원인이 응애로 밝혀지면서 농업과학원은 지난 2월부터 응애 밀도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설탕을 넣은 통 안에 꿀벌 100마리를 넣고 흔들자 벌에 붙어 있던 응애가 떨어져 나옵니다.

매주 1회씩 이렇게 조사를 해보니 5월 24일과 31일에 응애 발생 밀도가 각각 26.1과 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2008년 양봉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서는 8월과 9월에 응애가 가장 많이 발생했는데, 집단 발생 시기가 두 달가량 빨라진 것입니다.

[김동원/국립농업과학원 연구사 : 응애가 조기에 발생하니까 6월에 방제를 조금 더 집중적으로 관리하시고 사양 관리도 좀 철저히 하시면 피해를 조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농업과학원은 방제약에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고, 내년에도 응애 밀도 조사를 계속해 집단 발생 시기가 앞당겨진 이유를 규명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화면제공 : 농촌진흥청

이용식 기자 yslee@sbs.co.kr

인/기/기/사

◆ 만세 1등 세리머니 하다 순간 정적…한국 금 날린 순간

◆ 야영객 덮친 울릉도 거북바위, 붕괴 하루 전 포착된 모습

◆ "차량 빼달라고 했더니 급가속 돌진"…길 가던 부부 참변

◆ "서울 가서 누구든…" 산책로 여중생들 뒤따라가 벌인 짓

◆ 선수들도 어리둥절 홍콩전 혼돈의 20분…무슨 일이길래


▶ 다시 뜨겁게! SBS 항저우 아시안게임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27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64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