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를 보내려면?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를 보내려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5회 작성일 24-02-29 09:14

본문

뉴스 기사
일산병원 안재은 교수 "낯선 환경 사전 적응 훈련 필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를 보내려면?어린이집에 등원하는 아이
[연합뉴스TV 제공]

고양=연합뉴스 황대일 기자 = 매년 3월이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들어가는 아이를 둔 부모들이 골머리를 앓는다.

아이들이 부모와 떨어지지 않으려고 떼를 쓰거나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는 사례가 빈발하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재은 교수는 29일 이러한 현상은 자연스러우므로 적절한 도움을 준다면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안 교수에 따르면 아이는 엄마를 알아보고 심리적 안정을 가지는 생후 6∼7개월부터 분리 불안을 느끼기 시작하고 그런 현상은 3세까지 지속한다.

이 시기의 아이는 양육자와 분리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엄마 아빠가 보이지 않아도 괜찮다는 사실을 차근차근 가르친 다음에 어린이집에 보내야 한다.

아이가 등원을 강하게 거부할 때 엄마가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면 불안 심리를 악화시키므로 의연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

AKR20240229037400060_01_i.jpg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안재은 교수
[일산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아이와 일정한 시간에 헤어지고 데리러 가면서 일상 루틴을 만들어 주는 것도 새로운 환경 적응에 도움이 된다.

엄마와 떨어져 잘 생활한 점을 칭찬해주고 친척이나 이웃, 또래 아이 등과 어울릴 기회를 늘려주는 것도 필요하다.

새 공간이나 낯선 사람에게 적응하는 데 유달리 더디다면 주말에 유아원이나 주변을 자주 방문해 익숙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어느 날 갑자기 등원을 거부한다면 주말여행이나 불규칙 생활 등으로 피로가 누적됐거나 건강 이상이 있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또래 관계 형성이나 환경 적응 등에 대한 정보를 유아원 교사와 엄마가 공유하면서 아이의 고충을 함께 해결해야 한다.

안 교수는 "어른도 새로운 시작을 할 때 설렘과 함께 두려움을 느끼는 만큼 아이들의 첫 사회 적응은 당연히 어렵다"면서 "아이의 마음을 적극적으로 살피고 도와준다면 새 출발을 힘차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hadi@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한국여성 왜 아이 안 낳나…英 BBC 저출산 집중 조명
완주 모악산서 백골 발견…"1년 6개월 전 실종된 70대 추정"
"우린 또 당할수 없다…자체 핵무장, 여성 군복무 검토하자"
"물, 끓이기만 해도 나노·미세 플라스틱 최대 90% 제거된다"
정세진 아나운서, KBS 입사 27년 만에 특별명예퇴직
불법체류 부모 출국후 홀로 남겨진 칠삭둥이, 중환자실서 백일상
美 냉동 배아도 사람 판결 후폭풍…공화 지지자 49%도 반대
"아직도 남편 사랑하는지"…세기의 삼각관계 편지 경매에
영국 왕실에 무슨 일…수술받은 왕세자빈 음모론 확산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47
어제
1,610
최대
2,563
전체
427,13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