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서도 늙어가는 한국 우려…"20년 뒤엔 정부 부채가 GDP 넘어서"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해외서도 늙어가는 한국 우려…"20년 뒤엔 정부 부채가 GDP 넘어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4-05-19 10:16

본문

뉴스 기사
기사 이미지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세수 부진한 반면 사회보장 비용은 증가”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에 영향 끼칠 최대 변수는 금리”


인구 고령화 등 여파로 2045년이 되면 한국의 정부 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9일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에 따르면, 권효성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재정 전망 보고서를 통해 현재 57% 수준인 한국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30년 70%에 이어 2045년 100%에 이르고 2050년 120%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속에 노동력이 감소하면서 세수는 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반면 사회보장 및 의료서비스 비용은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20년 안에 부채 지속가능성이 큰 걱정거리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인구 구조를 감안하면 잠재성장률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2019년만 해도 42.1%에 머물렀던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중이 코로나19 확산 대응을 거치며 급증, 2021년에는 51.3%로 처음 50%를 넘었다고 추정한 바 있다. 이 수치는 지난해 55.2%에 이어 올해 56.6%로 늘어나고, 2029년이면 59.4%에 이를 것이라는 게 IMF의 추산이다. 정부부채는 국가채무국채·차입금·국고채무부담행위뿐 아니라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도 포함한 개념이다.

지난해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일본252.4%·미국122.1%·독일64.3% 등 주요 7개국G7보다 낮고 비교적 건전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지만, 앞으로는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는 “향후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에 영향을 끼칠 최대 변수는 금리”라며 “금리가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한 2%보다 1%포인트 올라갈 경우 해당 수치가 2050년쯤 141%로 치솟을 수 있다”고 봤다. 금리가 1%인 경우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101%, 0%인 경우는 83%를 기록할 가능성도 거론됐다. 한국은행이 3.5% 고금리를 유지하는 가운데, 이자 지급 비용은 2022년 GDP의 0.9%에서 지난해 1.4%로 늘어났다고 보고서는 추정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정부 재정지출 감소율이 10.5%에 이른다면서도, 감세와 세수 부진 등의 여파로 여전히 적자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총선 결과 재정지출 확대를 주장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만큼 재정준칙 법안의 국회 통과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부채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재정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최준영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한동훈, 한 달만 공개발언 “개인직구 KC인증 의무화는 과도한 규제”

‘폭정종식’ 수놓은 넥타이 착용 조국 “제7공화국 만들겠다”

[속보]김호중 “죄와 상처는 내가 받겠다” 논란 첫 심경 밝혀

“형님과 앉아 소주 한잔” 우원식, 김근태 묘소서…

국힘 첫목회 “한동훈 간판 내세웠던 친윤, 이제 축출 앞장…참 한심”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82
어제
1,161
최대
2,563
전체
424,78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