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구 그림 여성 구분하면 성 평등인가요 >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비상구 그림 여성 구분하면 성 평등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1-16 06:03 조회 88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정부 ‘여성 픽토그램’ 추진
되레 고정관념만 강화 우려
“성중립적 디자인이 대세”


성 평등 디자인 공모전 우수상 수상작

성 평등 디자인 공모전 우수상 수상작



정부가 ‘성 평등’을 위해 비상구 유도등 픽토그램에 여성 도안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과 관련해 오히려 성 평등에 역행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기 위해 성별의 특징을 부각할 경우 성 역할이나 정체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15일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성 평등의 가치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의제가 제기돼, 여성 도안을 비상구 유도등 픽토그램에 추가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도안의 구체적인 형태는 추후 전문가 검토 등을 거쳐 결정될 예정”이라고 했다.

기존의 픽토그램이 ‘남성이 바지를 입고 뛰어가는 모습’이라 여성 도안을 추가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는 것이다. 해당 소식이 처음 알려진 지난 12일 온라인상에선 이미 ‘치마 입은 여성 도안’까지 나돌았다. 당시 행안부는 “해당 도안은 정부 시안이 아니고 임의로 제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안이 과연 ‘성 평등’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나온다. 픽토그램에 남성과 여성의 도안이 모두 들어갈 경우 성별을 구분 짓기 위해 색깔이나 복장, 행동 특성, 신체적 특징이 부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 성 역할이나 정체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오히려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장미현 젠더공간연구소장은 “과거 수유실 픽토그램의 경우 여성이 아이를 안고 있는 형태였는데, 이는 돌봄과 육아는 여성들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을 하게 만든다는 지적이 있었다”며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기호나 상징이 사회적 무의식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했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2019년 실시한 조사에서 바꾸고 싶은 성차별적 공간으로 ‘여성은 분홍, 남성은 파랑으로 표현된 공간’21.1%과 ‘여성은 보호자, 남성은 작업자 등 성 역할 고정관념 표지판’8.6% 등이 꼽힌 바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성별 특징을 부각하지 않는 ‘성중립적’ 디자인이 오히려 성 평등에 부합하는 디자인으로 인정받는 추세다.

장 소장은 “대중교통의 임산부 배려석처럼 특정 성별이 이용하는 공간이 아닌 일반적인 시설물의 경우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을 배제하고 공간의 기능만을 직관적으로 전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용필 기자 phil@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비례 1번’ 류호정, 정의당 탈당 선언···이준석에 시그널?
· “행복하세요?” 직장인에 물었더니···‘이 직급’ 가장 불행했다
· 한예슬 “♥10세 연하 남친과 4년째 연애…오래 함께할 듯”
· 도살장 끌려가던 개 수백마리…인도네시아, 개고기 반대 여론 들썩
· 박정훈 대령의 든든한 뒷배, 해병대 정신이란 무엇인가
· 이준석 신당, 20일 공식 출범···대표 추대설엔 “역량 있는 사람 많아”
· “논리 모순” “언론보도 옥죄기”···‘바이든-날리면’ 판결에 잇따른 비판 목소리
· 공사비 발목 잡는 재정당국···세월호 추모공원, 결국 10주기에 한삽도 못뜬다
· 사료만으로 따져본 양규의 ‘7전승 신화’
· 한파 속 취객 ‘집 앞’에 내려놨다 사망···경찰관 처벌 수위는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 뉴스 남들보다 깊게 보려면? 점선면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