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받은 시신으로 비의료인 대상 유료 해부학 강의 논란종합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기증받은 시신으로 비의료인 대상 유료 해부학 강의 논란종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1회 작성일 24-06-10 20:02

본문

뉴스 기사
가톨릭 의대 연구소에 강의 개설돼…"교육용 시신도 모자라는데" 비판
복지부 "현행법상 해부 참관에는 자격 제한 없어"

기증받은 시신으로 비의료인 대상 유료 해부학 강의 논란종합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가톨릭대 의과대학에서 헬스 트레이너, 필라테스 강사 등 비의료인을 대상으로 기증받은 카데바해부용 시신를 활용한 유료 해부학 강의가 개설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운동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의학 강의를 제공하는 한 민간업체에서는 서울 가톨릭대 응용해부연구소에서 카데바를 활용한 해부학 유료 강의를 열어 왔다.

가톨릭 의대 소속 해부학 박사가 실습을 진행하면 수강자가 참관해 인체 구조를 직접 보는 식이다. 강의는 9시간 동안 진행되며 수강료는 60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는 해당 강의를 홍보하는 웹 사이트 화면에 카데바 클래스는 무조건 프레시 카데바Fresh Cadaver로 진행됩니다 등의 설명을 올렸다.

프레시 카데바란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고 살아있을 때와 비슷한 상태로 만들어 놓은 해부용 시신을 가리킨다.

이러한 내용이 알려지자 교육·연구를 위해 기증된 시신이 비의료인 대상 강의에 영리 목적으로 활용된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최근 의대 증원 과정에서 의료계는 안 그래도 해부용 시신이 모자라 의대 실습이 원활하지 않다며, 정원이 늘면 상황이 더 열악해질 것이라고 우려해 왔다.

다만 보건복지부는 해당 강의와 관련해 현재까지 알려진 사실 중 위법한 내용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현행법상 해부 행위에 대해서는 자격이 엄격하게 제한돼 있지만, 참관에는 제한 규정이 없다"며 "참관도 의료계 일원만 돼야 하는지 등 규정에 대해 해부학회 등과 논의해 보겠다"고 말했다.

또 "연구소나 해당 업체에서 실제로 돈을 얼마나 받았는지는 모르지만, 시체 보관이나 운영 인력에 대한 최소한의 실비를 받는 것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가톨릭의대 측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연구소에 문의해 정확한 내용을 파악 중"이라고 답했다.

해당 업체의 해부학 강의 광고는 현재 사이트에서 삭제된 상태다.

현행 시체해부법에서는 사인死因의 조사와 병리학·해부학적 연구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국민 보건을 향상시키고 의학의 교육 및 의학·의생명과학의 연구에 기여하기 위해 시체 해부, 보존, 연구에 관한 사항을 정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 시체 해부가 가능한 사람을 상당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의사 또는 의과대학의 해부학·병리학·법의학 교수, 혹은 이들의 지도를 받는 학생 등으로 정하고 있고, 연구 외에도 사인 등을 밝히기 위해 시체 해부 명령을 받은 경우나 형사소송법, 검역법에 따른 경우 등을 가능한 사례로 밝히고 있다.

fat@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치매 어머니, 모시기 힘들어" 차에 태워 바다로 돌진
잣 따러 나무 올라간 60대 남성, 6m 높이서 추락해 숨져
"단골도 등 돌렸다"…스타벅스 좋은 시절 끝났나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여성 살해하려 한 50대 붙잡혀
기증받은 시신으로 비의료인 대상 유료 해부학 강의 논란
권익위, 김여사 명품 가방 수수 의혹에 "위반사항 없다"
아일릿 소속사, 민희진에 추가소송…"가처분은 표절사안과 무관"
A매치 첫골 떠올린 손흥민 "덜덜덜덜 떨면서도 잘하고 싶었다"
첸백시 "매출 10% 요구 부당"…SM "탬퍼링이 본질, 책임 묻겠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39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9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