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여울 "한강 작품, 뭣부터 읽을까? 이걸로 시작하세요"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정여울 "한강 작품, 뭣부터 읽을까? 이걸로 시작하세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9회 작성일 24-10-14 09:47

본문

한강 노벨상 연령·성별·언어의 장벽 뛰어넘어
한강 문학, 트라우마 관통…어둠 속 빛 보인다
출판계 벼락같은 소식…서점 행렬, 지속됐으면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1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정여울 작가

지난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지면서 정말 많은 분들이 함께 수상의 기쁨을 나눴죠. 출판업계도 오랜만에 활기를 띠었습니다. 그러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세계 문학계는 한강 작가의 무엇에 주목한 걸까. 그 어렵다는 언어 장벽은 어떻게 뛰어넘은 걸까. 제2, 제3의 한강이 또 나올까, 이런 것들이요. 이제 주말 지내고 좀 차분하게 노벨상 수상의 의미를 되짚어보려고요. 저희가 한 분 모셨습니다. 문학평론가 겸 작가세요. 정여울 작가 어서 오십시오.

◆ 정여울gt;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 김현정gt; 정 작가님은 얼마나 기쁘셨어요? 이 소식 듣고.

◆ 정여울gt; 저는 딱 그 소식을 듣는 순간 지구가 정말 출렁하는 느낌이었어요.

◇ 김현정gt; 지구가 출렁…

◆ 정여울gt; 정말. 왜냐하면 저희는 계속 주변에 여성 작가들이 많으니까 이렇게 항상 뭐랄까요? 그런 좋은 소식들을 들으면 함께 기뻐하는 이야기들을 많이 나누는데 카톡이나 여러 가지 SNS로 많이 이야기를 나누는데 정작 한강 작가님은 술을 안 드시거든요. 그런데 우리가 저마다의 자리에서 각자 너무 좋아가지고 한강절이라고. 한강 작가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한강절로 만들자, 우리가.

◇ 김현정gt; 한강의 날.

◆ 정여울gt; 그래서 한강절을 또 너무 짧다. 한강절은 하루니까 그러면 계속 한강 주기를 만들어서.

◇ 김현정gt; 웃음 그 정도로…
정여울 quot;한강 작품, 뭣부터 읽을까? 이걸로 시작하세요quot;

◆ 정여울gt; 한강의 계절로 축하해야 되는 건 아닐까. 너무나 감격하신 분들이 많았고 또 어떤 면에서는 사실 책을 만드는 사람들, 또 출판계가 사실은 매년 단군 이래 최대 위기라고, 매년 매년.

◇ 김현정gt; 맞아요. 출판업계가 갈수록 안 좋아지니까.

◆ 정여울gt; 단군 이래 최대 위기라고 이렇게 했었는데 너무나 정말 가뭄의 단비 정도가 아니라 벼락같은 축복인 것 같아요. 벼락같은 축복이고.

◇ 김현정gt; 지금은 여성 작가 분들 모여 있는 단톡방 말씀하셨는데 여성이든 남성이든 할 것 없이 정말 우리 문학계의 큰 경사고 국민적인 경사였고 그거 분명합니다. 그런데요, 정 작가님, 노벨문학상 수상이 어느 정도나 어려운 거라고 보면 돼요?

◆ 정여울gt; 그러니까 지금까지는 일단 아시아 여성이 받은 적이 없었어요. 그러니까 처음으로 아시아 여성 작가가 받은 것인데 보면 아시아, 여성, 젊음, 이 세 가지가 되게 중요한 것 같아요. 왜냐하면 지금까지의 노벨문학상이 까뮈 이후에는 가장 젊은 작가거든요. 일단. 까뮈는 아주 오래전에 받았잖아요.

◇ 김현정gt; 그러니까 프랑스의 까뮈 이후에.

◆ 정여울gt; 네, 알베르 까뮈.

◇ 김현정gt; 가장 연소예요?

◆ 정여울gt; 예, 문학상에서.

◇ 김현정gt; 그게 언제입니까? 그럼 정말.

◆ 정여울gt; 되게 오래됐죠. 그래서 알베르 까뮈는 40대 초반에 받았고 그런데 워낙에 그때 유럽에서 잘 알려져 있었고 또 까뮈는 백인 남성이고 일단 유리하죠. 그리고 이제는 원래부터 유명한 작가였기 때문에 유럽 안에서. 그리고 유럽이 노벨문학상을 훨씬 더 많이 받았으니까요. 그런데 아시아, 여성, 젊음, 이것은 다 사실 노벨문학상을 받기에는 불리한 조건이거든요. 그런데 그 세 가지 악조건을 다 뛰어넘어 받았다는 것은 일단 작품이 훌륭한 건 너무나 당연한데 거기에 또 아시아, 여성, 젊음이라는 또 어려운 악조건을 한 번씩 더 뛰어넘은 거라고 생각해요. 노벨의 혁신이라고 저는 생각을 해요. 노벨상 자체가 굉장히 지금까지는 원로 작가들한테 많이 주셨거든요. 그래서 60대, 70대, 80대 이렇게 훨씬 더.

◇ 김현정gt; 업적이 많은, 경력이 많은 작가들에게…

◆ 정여울gt; 그렇죠. 공로 자체를 인정하는 평생에 대한 상으로 많이.

◇ 김현정gt; 약간 공로상 같은 느낌도 있었어요.

◆ 정여울gt; 느껴졌는데 지금은 한참 활동을 많이 하고 있는 젊은 작가한테 줬다는 것이 또 많은 세계 작가들한테 정말 글쓰기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도 정말 어린이, 청소년들까지도 이렇게 뭐랄까. 희망을 주는 것 같아요.

◇ 김현정gt; 그런 것 같아요, 진짜.

◆ 정여울gt; 그래서 이거는 출판계, 여성 문화, 여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에게 놀라움과 멋진 충격으로 다가왔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정말 유럽에서도 지금 책이 없어서 못 팔고 있다고 그렇고요.

◇ 김현정gt; 그렇다면서요. 그 번역에 대한 이야기 우리가 많이 했어요. 뭐냐면 그동안에도 후보에 올랐던 우리 작가들은 있었고 우리 문학작품 뛰어나죠. 그런데도 그 언어의 장벽을 뛰어넘는 게 너무 어렵다는 얘기를 늘 했었는데 이번엔 어떻게 그 장벽을 뛰어넘은 겁니까?

◆ 정여울gt; 일단 데보라 스미스라는 젊은 번역가의 힘이 일단 컸던 것 같아요. 첫 번째 장벽을 뛰어넘어서 채식주의자 자체가 사실 유럽에서는 오랫동안 베스트셀러였거든요. 그래서 부커상이 정말 중요했고 그리고 그다음에 한강 작가가 부커상만 받은 것이 아니라 유럽에서 여러 상을 받았어요. 기메문학상도 받았고요. 제가 기메문학상이라고 하니까 어떤 분이 김해문학상이라고 잘못 들으셨는데.

◇ 김현정gt; 우리나라 김해. 웃음

◆ 정여울gt; 기메문학상 되게 유명한 문학상이고 또 메디치 문학상도 받았어요. 그러니까 그런 유럽에서 이미 정말 한강 작가는 원래부터 유명했고요. 그리고 약간 문학계에서는 그렇게 생각했죠. 그러니까 저는 그렇게 생각했는데 언젠간 받을 것 같은데 그 노벨문학상 자체가 좀 원로 작가한테 주니까 몇 년 기다려야 되지 않을까.

◇ 김현정gt; 언젠가는 받을 것 같다. 한강 작가는 받을 것 같다, 그런 얘기가 파다했어요?

◆ 정여울gt; 파다할 정도는 아니었는데 저같이 한강 작가의 광팬들이 많잖아요.

◇ 김현정gt; 작가 중에도 광팬이 많아요?

◆ 정여울gt; 그럼요. 그러니까 작가 분들도 그렇고 독자 분들도 그렇게 원하고 예상했다는 분들이 지금 이렇게 SNS에 인증샷을 많이 올리셨더라고요. 내가 10년 전에 쓴 글이다.

◇ 김현정gt; 성지다.

◆ 정여울gt; 내가 5년 전에 쓴 글이다 막 이렇게 하면서 우리나라에서 노벨문학상이 나온다면 아마 한강 작가일 것 같다, 이런 생각들을 많이 하셨어요. 독자 분들이.

◇ 김현정gt; 다만 그 시기가 이렇게 빠를 줄은 몰랐는데.

◆ 정여울gt; 그렇죠.

◇ 김현정gt; 굉장히 빨랐다.

◆ 정여울gt; 빠르고 사실은 시의적절했죠. 그래서 노벨의 혁신이 너무나 절실하던 때였고, 그래서 이런 사실 상 자체도 중요하지만 작가님의 작품 세계를 우리가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것이 제일 중요할 것 같아요.

◇ 김현정gt; 그럼 작품 세계를 한번 돌아보죠. 한강 작가의 작품도 좋았고 그다음에 노벨이 혁신해야 한다라고 하는 그 타이밍에 딱 맞아떨어지면서 젊은 작가 한강이 이변을 일으켰다. 왜냐면 그동안 계속 공로상 같은 느낌이 있었으니까 그 말씀이신데, 한강 작가의 작품 뭐랄까요? 한림원은 일단 이렇게 얘기했어요.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의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 말이 좀 어렵거든요. 이 말을 좀 해석해 주신다면요?

◆ 정여울gt; 문장을 좀, 이 수상에 대한 설명이 굉장히 긴데 그 문장 자체가 되게 멋진 문장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전체를 딱 두 문장만 가져오니까 이런데 전체를 읽어보면 한강 작가의 많은 작품들을 분석을 해요. 그러면서.

◇ 김현정gt; 이건 이래서 이렇고 저건 저래서 이렇고.

◆ 정여울gt; 초기 작품부터 최근 작품까지 꿰뚫고 있는 것이 항상 인간의 상처를 들여다보는 문학이다. 그러니까 보통 사실 한국 사회는 트라우마를 드러내는 것을 굉장히 꺼리는 사회잖아요.

◇ 김현정gt; 그렇죠.

◆ 정여울gt; 그래서 개인의 트라우마를 드러내면 왠지 내가 뭔가 위축되는 것 같고 사람들이 나를 깔볼 것 같고 그런 트라우마를 드러내는 것에 굉장히 좀 조심해야 되는 사회인데 한강 작가는 오히려 그 트라우마가 중심 주제예요. 항상. 그래서 그 트라우마를 앓고 있는 사람들이 상처의 중심에 있는 사람들이 가장 고귀한 사람들이에요. 저는 그게 이 작품들이 저에게 주는, 우리에게 주는 용기라고 생각하고 소년이 온다도 그렇고 채식주의자도 그렇고 트라우마를 앓고 있는 당사자들이고 어떻게 보면 피해자일 수도 있는데 그 피해자가 용기 있게 자신을 둘러싼 악조건과 싸워가는 모습이 너무 아름답고 슬프고 감동적으로 그려져 있잖아요. 그래서 한림원에서는 바로 그 트라우마에 맞서 인간의 용기를 높이 평가한 것 같아요.

◇ 김현정gt; 그게 4.3을 배경으로 한 작별하지 않는다도 그렇고 5.18을 배경으로 한 소년이 온다에서도 그렇고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이 움츠려드는 게 아니라 싸워가는 과정. 그런데 역사를 소재로 한 작품이 그동안에도 되게 많았잖아요. 그런데 한강 작가의 작품에서는 어떤 면이 좀 다릅니까?

◆ 정여울gt; 그러니까 우리가 그동안 봐왔던 많은 장편 소설이나 특히 대하소설이나 이런 것들은 커다란 이야기의 줄기가 있잖아요. 주로 거대 담론이라고 좀 어렵게 말하죠. 그런데 그런 리얼리즘이나 어떤 딱 사조에 그치지 않고 한강 작가는 한 개인에서 항상 시작해요.

그런데 그 한 개인이 미약할 수도 있고 되게 연약해 보이는 예를 들면 소년이 온다는 정말 소년이잖아요. 중학생이잖아요. 그런데 정말 겉으로 보면 멀리서 보면 아무 힘도 없어 보이는 작은 자리에 있는 평범한 사람이 마침내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고 그리고 끝까지 광주의 도청에서 버텨내잖아요. 형들과 함께 막 졸려하면서, 같이 졸면서 끝까지 옆에 있겠다고 하고 정말 실제로 그랬고 실제로 있었던 일이고, 그리고 그 많은 사람들이 희생당하지만 단지 희생자나 피해자의 또는 생존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트라우마를 끝까지 버텨내면서 다른 상처들과 연대하는 모습, 그러니까 그냥 80년 광주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고 유족들이 다른 상처를 입은 분들과 또 같이 연대하고, 그러니까 트라우마가 저는 마치 트라우마의 별자리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트라우마가 각자 흩어져 있을 때는 아무 힘이 없지만 이 소설을 통해서 이야기를 통해서 트라우마가 마치 정말 한국에서 일어난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사실 전 세계에 이런 사건들이 비슷한 일을 겪었던 나라들이 많거든요. 그래서 우리도 이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 우리도 사상과 비슷하게 고립된 적이 있었는데 그렇게 많은 분들이 전 세계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그 트라우마의 당사자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하고 연민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내용들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 것 같아요.

◇ 김현정gt; 굉장히 로컬의 이야기지만 아주 또 세계 보편적인 이야기로 공감을 이뤄내는 방식. 그런데 어떤 그 주제 의식을 투쟁, 이런 느낌으로 그린 게 아니라 굉장히 서정적으로 담아내잖아요. 그 문체를 보면. 우리 정 작가님은 아까 광팬이라고 하셨는데 한강 작가의. 특히 어떤 점이 제일 매력적이세요? 한강 작가.

◆ 정여울gt; 뭐 이렇게 하나를 뽑기가 참 어려운데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읽다 보면 정말 슬프고 우울해져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좀 어렵다고 하셨어요.

◇ 김현정gt; 어렵기도 해요.

◆ 정여울gt; 그런데 계속 읽고 끝까지 읽어내면 그냥 이 슬픔 속에, 이 어둠 속에 더 아름다운 빛이 있다는 걸 깨닫게 돼요.

◇ 김현정gt; 그 본질까지 쭉 들어가면 빛이 보인다.

◆ 정여울gt; 그러니까 어둠을 끝까지 파고 들어가면 나중에는 그냥 이렇게 환하게 원래부터 빛나는 형광등 불빛 같은 그런 빛이 아니라 어둠 속에서 환히 빛나는 무언가를 찾게 돼요. 그건 희망일 수도 있고 용기일 수도 있고 그리고 이 상처를 끝까지 대면해낸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용기일 수도 있고 그리고 피하지 않아야 될 것 같아요. 상처를 피하면 우리가 느낄 수 없는데 상처를 이겨내려면 일단은 그 중심에 가야 되거든요. 그 중심에 있으면서 피하지 않은 사람들의 어떤 고귀함, 존엄, 그러니까 상처 입은 사람들이 가장 상처 입은 있는 그 부분이 사실은 존엄성이거든요. 인간의 존엄성과 내가 과연 나로서 한 사람으로서 진정하게 대접받을 수 없단 말인가 이런 생각이 들 때 되게 힘들잖아요.

그런데 그런 순간들에도 고귀함을 잃지 않는 사람들, 존엄을 잃지 않는 사람들을 보여줘요. 그래서 소년이 온다에서 보면 한강 작가가 에필로그에서 소년의 형을 만나요. 소년의 형을 만나면서 이 이야기를 써도 되냐고 해요. 그랬더니 형이 써도 되는데 우리 동생을 아무도 더는 모독하지 않게 해달라고 아무도 내 동생을 모독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그렇게 써달라고 하시는데 정말 그렇게 썼고 그래서 소년이 온다가 소년이 간다가 아니고 온다잖아요.

◇ 김현정gt; 그러네요.

◆ 정여울gt; 가버린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여전히 우리에게 매일매일 오고 있다는 것, 그것을 우리가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 김현정gt; 알겠습니다. 작품에 대한 분석해 봤는데 작품 외적으로는 한강 작가가 박근혜 정부 당시에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포함됐다는 사실, 이게 또 재조명되고 있어요. 지금 돌아보면 어떻게 그 당시를 평가해야 합니까?

◆ 정여울gt; 너무나 정말 이게 사실 있어서는 안 되는 검열이죠. 문학 작품에 대해서 그리고 문학이고 이 작가의 자율성이 존중되어야 하는 부분인데 그냥 그 시대를 다뤘다는 이유만으로 이렇게 블랙리스트에 오른다는 것은 사실 정말 부끄러운 일이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사실 한강 작가의 이 작품 소년이 온다뿐만이 아니라 많은 작품들이 그때 블랙리스트에 올랐었고 그러면서 블랙리스트에 오른 작가들이 나중에 그리고 다 많이 좋은 결과를 오히려 해외에서, 사실 봉준호 감독도 블랙리스트에 올랐었죠. 그러니까 그분들의 많은 작품들이 오히려 독자들이나 또는 관객들에게 훨씬 더 많이 사랑받고 훨씬 더 많이 인정받았거든요. 그러니까 농담으로 블랙리스트에 오른 작가들이 오히려 더 영광스럽게 지금 더 잘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이제 농담으로 그렇게 얘기하지만 사실은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인 거죠.

◇ 김현정gt; 그렇죠. 예술을, 창작 활동을 재단해서는 안 되는 거죠. 어떤 사회적인 잣대를 가지고 이념의 잣대를 가지고 그 말씀하신 겁니다. 마지막 질문. 제2, 제3의 한강이 또 나올까. 나온다면 얼마나, 이게 또 얼마 후쯤 나올까 한 100년 기다려야 되는 거야? 막 이런저런 이야기들 나와요. 어떻게 보세요?

◆ 정여울gt; 저는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 그리고 이 작품이 소설만 있는 것이 아니잖아요. 시도 있고 또 에세이도 있고 희곡도 있고 예전에는 또 밥 딜런도 받은 적이 있고 또 다큐멘터리 작가가 받은 적도 있거든요. 그러니까 얼마든지 새로운 장르 또 새로운 글쓰기에서 저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정말 이 교보문고에서 사람들이 막 기다리면서 줄 서서 책을 사고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가 마비되고 이런 사이트가 마비될 정도로 책에 대한 관심을 가진 독자들이 많아졌다는 거, 그게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었으면 좋겠고 왜 텍스트 힙이라는 말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텍스트를 읽는 것이 되게 힙한 것이다. 핫한 것이다라고 젊은이들이 그렇게 말하는데 정말 그 현상이 오래 갔으면 좋겠고 문학이라는 것이 항상 정말 머나먼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읽는 순간 우리 마음속에 항상 함께하면서 우리에게 언제나 용기를 줄 수 있다는 것을 많은 분들이 느끼시는 그런 더 오랜 시간 사랑받았으면 좋겠습니다.

◇ 김현정gt; 잠깐의 유행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이 서점으로 향하는 행렬이, 그게 굉장히 귀한 말씀이고요. 30초 남았는데 한강 작가의 딱 한 작품 이것부터 읽으세요. 추천해 주신다면? 정 작가님 픽.

◆ 정여울gt; 한 작품은 어려울 것 같은데 순서를 정해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소년이 온다를 먼저 읽으시고.

◇ 김현정gt; 소년이 온다부터 읽으셔라.

◆ 정여울gt; 아니면 여성분이라면 채식주의자를 먼저 읽으셔도 괜찮아요. 그런데 어쨌든 소년이 온다를 제일 먼저 읽으시고 그다음에 채식주의자 읽으시고 작별하지 않는다 읽으시고 또 이걸 다 읽으셨다면 흰이라는 자전소설이 있어요. 그렇게 또 계속 전작주의자라고 하는데.

◇ 김현정gt; 꼬리에 꼬리를 물고.

◆ 정여울gt; 네, 전작주의자는 모든 작품을 다 읽거든요. 그래서 전작주의자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김현정gt; 여기까지 오늘 말씀 듣죠. 작가 겸 문학평론가입니다. 정 작가님 고맙습니다.

◆ 정여울gt; 고맙습니다.

◇ 김현정gt; 정여울 작가였습니다.

※ 내용 인용 시 CBS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 내용임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CBS 김현정의 뉴스쇼 cbsnewsshow@gmail.com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감사원, 적극행정 면책에 인색…내부직원 징계는 솜방망이
- 이재명 "김문수·김광동 파면하고 친일 바이러스 뿌리 뽑아야"
- [기고]남중국해 갈등에 성큼 다가선 한국, 군사 훈련 참가 주목
- 어벤저스 이사회 업고 나는 TSMC, 삼성은 안 하나 못 하나
- 90세 아르마니 "2~3년 내 은퇴…그 이상은 어려워"
김현정의> 김현정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38
어제
2,291
최대
3,806
전체
822,02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