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도 못 푸는데"…교육부가 찍은 22개 킬러문항의 정체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교수도 못 푸는데"…교육부가 찍은 22개 킬러문항의 정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2회 작성일 23-06-26 15:00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출제 과정에서 공정수능 출제 점검위원회를 신설한다. 윤석열 정부가 강조하는 공정한 수능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조치다. 공정한 수능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목된 이른바 킬러 문항은 출제 배제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를 위해 최근 출제된 킬러 문항의 유형을 공개하는 초강수까지 뒀다.

교육부는 26일 사교육비 경감대책을 발표하면서 22개의 킬러 문항을 제시했다. 이 문항은 2021~2023학년도 수능과 올해 6월 모의평가모평의 국어7개와 수학9개, 영어6개에서 출제 된 것이다. 교육부가 물수능으로 표현한 2021학년도 수능에선 1개의 킬러 문항만 나왔고, 나머지 수능과 모의평가에선 각각 7개의 킬러 문항이 출제됐다.

킬러 문항은 최상위권 학생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출제된 초고난도 문항을 의미한다. 교육부는 이를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으로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으로 정의했다. 정부는 학생들이 킬러 문항 때문에 학원을 찾고, 이 과정에서 학원만 배를 불린다는 인식을 노출한 바 있다.

본문이미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공통 17번 문항 /사진제공=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부는 최근 3년간 수능과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출제된 480개 문항을 점검해 킬러 문항을 걸러냈다. 국어는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지문과 전문용어를 사용해 배경지식을 가진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풀 수 있는 문항, 문제풀이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아 내용 파악을 어렵게 하는 문항 등을 킬러 문항으로 제시했다.

가령 2023학년도 수능 국어 17번의 경우, 농게 수컷의 큰 집게발과 게딱지 폭의 상대 성장을 토대로 어려운 개념을 보기에 담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최적 직선의 기울기, 편차 제곱 합, 일반적인 그래와 L-그래프의 개념 차이 등의 개념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의 의미를 지문에서 찾아가며 보기의 내용을 적용해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추론해야 할 정보량이 과다하다"고 설명했다.

본문이미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수학공통 22번 문항 /사진제공=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학에선 여러 개의 수학적 개념을 결합해 과도하게 복잡한 사고를 요구하는 문항 등을 킬러 문항으로 판단했다. 올 6월 모평 수학 공통 22번처럼 다항함수의 도함수, 함수의 극대·극소, 함수의 그래프 등 3가지 이상의 수학적 개념을 결합한 문항이 대표적이다. 2022학년도 수능 미적분 29번과 같이 대학에서 배우는 테일러 정리 개념을 활용해 풀 수 있는 문항도 있다.

영어 킬러 문항은 추상적이어서 해석하고도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 선택지에서 어려운 어휘 등을 사용해 지문을 이해하고도 문제를 풀기 어려운 문항 등이 예시로 소개됐다. 지난해 수능37번에선 변호사 수임료 체계라는 생소한 어휘를 냈고, 올 6월 모평34번에선 감각적 인식과 이성적 지식의 차이라는 추상적 개념이 지문에 등장했다.

본문이미지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37번 문항 /사진제공=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부는 오답률과 킬러 문항이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킬러 문항의 오답률이 대체로 높았지만 오답률만 보고 걸러낸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킬러 문항을 배제하면서도 변별력을 갖춘 문제를 올 9월 모평부터 출제할 계획이다. 하지만 올해 수능이 5개월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감을 잠재울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복잡하고 난해한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학생·학부모, 교육청, 관계부처 나아가 지자체·민간까지 모두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를 믿고 힘과 지혜를 함께 모아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귀순 배우 김혜영, 3번 이혼과 우울증…"아들 덕에 살았다"
황의조 이어 황희찬도 SNS 피해…"가상의 대화 짜깁기"
슈가보이 백종원 "설탕 안 좋아해…요리보다 게임"
"새벽에 깨우는 남편 때문에…이혼할까" 30대女 고민
"테이프를…" 아옳이, 가족사진에 전 남편 숨긴 방법
손태영 훌쩍 큰 아들, 뒷모습은 ♥권상우 똑같네…누리꾼 깜짝
"최소 5억 차익" 흑석자이 무순위 청약 광클…홈페이지 터졌다
♥이상화 몰래 야식 먹더니…22㎏ 찐 강남에 김준호 "개그맨인 줄"
이승연, 호르몬 이상 고백…"스트레스 탓에 몸이 제어 안 돼"
해명에도 "황의조 영상 구함" 2차 가해 우려…팬미팅은 취소
프리고진이 멈춘 이유?…"러 정보기관, 바그너 가족들 위협"
오메가3의 두 얼굴…이럴 땐 심방세동 위험 키웠다
"비싼 5G 요금제 안 써요"…2년간 50만원 아끼는 꿀조합
"생수가 4500원, 식사도 망설여"…전 세계서 물가 가장 비싼 도시
"안정적 직장은 무슨…박봉에 욕먹고 공황장애" 공무원이 떠난다

정현수 기자 gustn99@mt.co.kr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59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7,73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