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 4만원, 늘봄 선생님 구합니다"…개학 앞두고 발등에 불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시급 4만원, 늘봄 선생님 구합니다"…개학 앞두고 발등에 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3회 작성일 24-02-19 05:10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서울=뉴스1 허경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늘봄학교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4.2.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교육부가 올 1학기에 전국 공립초등학교의 44% 수준인 2741곳이 늘봄학교돌봄교육를 신청했다고 18일 밝혔다. 2학기부터 전국 학교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내년부터는 초등학교 2학년으로 확대한다. 늘봄학교는 돌봄과 방과후학교를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이라면 맞벌이 등의 조건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각 학교는 방과 후 매일 2시간씩 무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교별 수요에 따라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운영한다. 다만 늘봄학교 행정을 맡을 기간제 교사 채용, 방과후 무료 프로그램을 진행할 강사 섭외 등은 각 학교와 교육청의 몫으로 남아있다.

이번에 처음으로 늘봄학교를 신청한 초등학교2741곳를 지역별로 보면 부산과 전남이 각각 304곳, 425곳으로 신청률이 100%였다. 경기도도 975곳으로 73.3%에 달했다. 이들 지역은 지난해 일부 시범학교를 운영해 사전 준비가 이뤄진 지방자치단체다. 세 지역을 더하면 1704곳으로 전체 늘봄학교의 62%에 해당한다.

아울러 제주 48.2%55곳, 세종 47.2%25곳, 충북 39.2%255곳 순으로 참여율이 높았다. 반면 서울은 6.3%38곳으로 가장 적었고, 전북도 17.9%75곳, 울산은 19.8%24곳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은 이미 학교별로 돌봄이 오후 8시까지 실시하고 있는데다 과밀학교는 별도 공간을 확보하기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서울 10개 교육지원청 중에서 늘봄학교를 신청한 곳은 강동송파가 8곳으로 가장 많았다. 강남서초는 세명초 1곳에 그쳤다. 지난해 기준 전교 재학생이 1000명이 넘는 대형 학교는 신서초강동송파, 발산초강서양천 두 곳이었다.

본문이미지
늘봄구인 공고/사진=부산시교육청 캡쳐

교육부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아동센터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했지만 학교 밖으로 이동때 사고 우려가 많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18일 "현재 늘봄학교를 신청한 곳 중 외부 시설을 이용하려는 학교는 없다"며 "신청한 학교들은 시설·공간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다음주 중 현장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교육청과 학교들은 늘봄 관련 인력인 기간제 교사와 프로그램 강사를 충원하기 위해 분주하다. 각 교육청의 학교인력채용란은 구인글로 넘쳐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의 경우 이달에만 늘봄 관련 구인글만 88건에 달한다. 인력 공고가 몰리면서 재공고에 나서기도 한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업무가 기존 교사에게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학기에는 기간제교사를 배치한다. 2학기에는 공무원, 퇴직 교원 등 늘봄실무직원이 맡는다. 늘봄학교는 방학 중에도 운영되기 때문에 학교에 따라 방학에도 출근해야 할 수 있다.

무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는 기존 방과후 강사와의 처우 차이가 문제다. 교육부는 강사 시급 상한선을 4만원으로 책정했다. 수업 1회에 2시간씩, 주 2회를 한다고 가정하면 한달 32만원이다. 하지만 방과후 강사는 수익자학부모 부담이기 때문에 1명당 2만원씩, 20명만 모여도 40만원을 받게 된다. 인기가 많은 강사는 무료 프로그램에 지원할 유인이 없다는 얘기다. 전남교육청이 자체 재원을 써가며 강사 시급을 추가로 지원하는 이유다.

대부분의 교육청은 별도 지원까지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 지방 교육청 관계자는 "이미 예산편성이 끝나 재정 지원이 어렵다"며 "다음 학기부터는 의무 시행인데 인력 수급이 고민"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2025학년도부터 늘봄학교 전면 시행을 계획했으나 올해로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미리 예산을 늘리지 못했다.

[관련기사]
"손가락 깁스한 손흥민, 1시간 넘게 팬 사인"…파도 파도 미담만
"이강인만 욕먹나" vs "짐 내려놔라"…손흥민 SNS 댓글 논쟁
"왜 하필 이강인이냐" 불만 터지자…아라치 치킨도 결국
심진화 "아파트 팔고 전세로 신의 한수"...얼마에 팔았길래
브라이언 300평 전원주택 공개…"청소로 수백억?"
진서연 "남편과 클럽서 맥주 마시고 임신 사실 알아"
"손흥민-이강인 드잡이, 수개월 노력 박살났다" 전 수석코치의 말
[단독]이강인 측 "스페인으로 첵스초코 사다달라"…배달도 시켰다
한국시리즈 우승 주역의 추락…네 모녀 살해 미스터리 [뉴스속오늘]
"가장 힘든 일주일"…손흥민, 탁구사건 후 첫 심경 고백
"신고가, 신고가!" 저PBR주 돌아가며 축포…"너무 뜨겁다" 경고
의료개혁 尹정부 "설득 지속·타협 없다"
[단독]"수수료는 50만원" 게임사 광고 10억a 받은 이강인의 제안
헐벗었던 여전사들, 근육 키우고 갑옷 입는다…게임서 부는 새바람
의사 파업? 지금은 윤석열인데…"한다면 진짜 하는 대통령"

정인지 기자 injee@mt.co.kr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15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18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