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속페달 착각, 기어 깜빡…고령운전자 면허반납 현실은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가속페달 착각, 기어 깜빡…고령운전자 면허반납 현실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0회 작성일 24-01-26 20:53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65살 이상 운전자들이 내는 교통사고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정부는 운전면허를 스스로 반납하면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그걸 반납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어떤 대책이 더 필요할지 이태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우회전하던 택시가 갑자기 속도를 높이더니, 건물을 뚫고 들어갑니다.

사무실 직원과 승객 등 4명이 다쳤는데, 80대 기사는 착오로 브레이크가 아닌 가속페달을 밟은 걸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11월, 전남 고흥의 한 시장에서도 70대 운전자가 기어를 주차로 바꾸지 않고 차에서 내려 시장 상인이 크게 다쳤습니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체 교통사고는 21만 7천여 건에서 19만 7천여 건으로 9% 정도 줄었지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들의 교통사고는 5년 새 20% 이상 늘었습니다.

정부는 지난 2018년부터 운전면허 반납 시 10만 원에서 30만 원까지 지급하는 자진반납제를 실시 중이지만 반납률은 매년 2%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10년마다 한번 받은 적성검사를 65세 이상부터는 5년 주기로 받도록 하고 있지만, 일반 적성검사와 똑같이 청력이나 시력 등 기본검사만 하고 있습니다.

[최재원/도로교통공단 안전교육부 교수 : 어르신들의 적성 검사는 또 따로 좀 분리해서 정밀하게 해 줄 필요는 있다. 운전능력에 대한 평가가 고도화가 계속되면은 그만큼 사고는 줄어들 수 있는 건 사실입니다.]

운전능력에 따라 낮에만 운전하도록 하거나 고속도로 운행을 제한하는 조건부 운전면허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필수/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미국이나 이런 데서는 실제로 낮에만 운전하게 한다든지 시간제 운전 같은 것들도 있고….]

국토부는 올해까지 조건부 운전면허제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하고, 여객자동차 운수종사자 고령화에 따른 제도개선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 김한길

이태권 기자 rights@sbs.co.kr

인/기/기/사

◆ "노인 피땀인데, 방콕?" 반박에…이준석이 콕 집은 전철역

◆ "막차인데…다 무너졌다" 30대 영끌족 몰린 노도강 비명

◆ "어떻게 이럴수가…말 좀 해달라" 찍힌 돈 보고도 당했다

◆ 온몸 흰 가루 뒤집어썼다…계단에 모인 여학생들 무슨 일

◆ "중 보따리상 쓸어간다"…웬만한 차 1대 값인데 못 구한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15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