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유급 시한 14일…교수 사의·학생 수업 거부에 의대는 혼란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집단 유급 시한 14일…교수 사의·학생 수업 거부에 의대는 혼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7회 작성일 24-03-10 07:22

본문

뉴스 기사


집단 유급 시한 14일…교수 사의·학생 수업 거부에 의대는 혼란

전국 대부분 대학이 개강한 4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강의실 앞 사물함에 가운이 걸려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해 이날 전국 의대생들이 3주째 동맹휴학을 이어가고 있다. 2024.3.4/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서울=뉴스1 이유진 천선휴 기자 =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하는 의대생들의 휴학 신청과 의대 교수들의 사의 행렬이 이어지는 가운데 집단 휴학을 선택한 의대생들의 집단 유급 위기 시한마지노선이 다가오면서 의학대학도 혼란이 커지는 모습이다.

10일 교육부에 따르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해 전국 의대 학생들이 신청한 휴학 건수를 합하면 총 1만4000여 건에 달한다.

지난달 19일부터 집계한 전체 휴학 신청 건수와 유효한 휴학 신청 건을 따로 집계하기 시작한 28일부터 발표된 휴학 신청 건수를 합한 것이다.

학생들뿐 아니라 의대 교수들 역시 공동 대응에 가세하고 있다.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의대 측과 증원을 신청한 대학 본부 간 갈등에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을 포함한 울산대 의대 교수 전 교수들과 경북대 의대 학장단 교수 14명은 일괄 사의를 표했다.

현장의 갈등이 이어지자 전국 33개 의과대학의 교수협의회장이 모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비공개 총회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 등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전의교협은 전날 오후 서울에서 비공개 총회를 열고 현 상황과 의대생 유급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창수 전의교협 회장은 "대학별 상황과 전공의, 전임의들이 떠난 병원에서 교수들이 계속 진료를 하고 있는데 이걸 언제까지 지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총회에선 의대생들 휴학에 따른 유급 문제, 대학별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교수 사직 문제 등 두 가지 사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학생들이 휴학계를 제출하고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현 상황이 지속될 수 있는 건 대학별 학사 일정이 다르지만 대부분 최대 2~3주까지만 가능하다.

가장 빠른 기준일은 14일로, 교수들은 이날을 마지노선으로 두고 그 전에 공동 대응 방안을 내놓자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진다.

대학 측이 의대 학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으면 대부분 학생들은 등록금도 돌려받지 못하고 유급 처리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의대는 학칙상 수업일수 3분의 1 또는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유급이 되는 F 학점을 부여한다.

대학들은 학생들의 단체 유급을 막기 위해 본과생 개강 일정을 지난달에서 이달로 미룬 상황이다.

대학별 의대 증원 수요 신청이 마무리되고 정부가 증원 배분 절차에 본격적으로 착수한 상황이라 현시점에서 의대생들이 단체행동을 중단할 가능성은 적다.

교육부는 각 대학에 정상적인 학사 관리를 지속적으로 협조 요청하고 있다.

rea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63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03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