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철 아닌데 붉게 변한 산…전국서 벌어지는 소름돋는 일 [최병성 리포트...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단풍철 아닌데 붉게 변한 산…전국서 벌어지는 소름돋는 일 [최병성 리포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1회 작성일 24-10-08 12:08

본문

[최병성 리포트] 산림청의 소나무재선충 방제 방법, 근본적 전환이 필요하다

[최병성 기자]

단풍철 아닌데 붉게 변한 산…전국서 벌어지는 소름돋는 일 [최병성 리포트]
재선충으로 소나무들이 시뻘겋게 죽어가고 있다.
ⓒ 최병성

숲의 나무들이 새빨갛게 변했다. 아직 가을 단풍철이 아니다. 소나무가 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한 것이다. 이곳은 포항시 기계면의 마을 뒷산으로 지난 9월 27일의 모습이다.


재선충으로 죽어가는 소나무들이 끝없이 이어져 있다.
ⓒ 최병성

위에서 내려다보았다. 빨간색 나무들이 재선충에 감염되어 지금 죽어가는 소나무들이다. 하얗게 된 나무들은 재선충으로 죽어 잎사귀들이 다 떨어지고 가지만 남은 것이다. 초록 잎을 달고 있는 나무들은 재선충에 감염되지 않는 참나무들이다.

참나무를 제외한 소나무들이 재선충으로 전멸했다.
ⓒ 최병성

이곳은 사람 손길이 닿기 어려운 깊은 산이 아니다. 민가가 몰려 있는 마을 뒷산임에도 산림청이 재선충 방제에 실패해 소나무가 전멸했다.

이뿐 아니다. 포항은 호미곶에 이르는 바닷가 끝까지 온통 붉게 물들며 소나무가 전멸 중이다.

바다 끝까지 소나무가 죽어가고 있다.
ⓒ 최병성

재선충으로 소나무가 전멸 중인 곳은 포항만이 아니었다. 경주 역시 온 산이 붉게 변하며 소나무들이 고사 중이다. 이곳은 동국대학교 경주 캠퍼스다. 이곳의 소나무들이 그냥 방치되어 있던 것은 아니다. 소나무 기둥에 재선충을 예방한다며 농약을 주입한 구멍들이 있었다. 도심 한가운데 소나무들이 재선충 방제를 위한 관리를 해왔음에도 전멸 중이다. 이는 산림청의 재선충 방제 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경주 동국대학교 교내의 소나무들도 재선충으로 온통 붉게 죽어가고 있다. 관리 가능한 도심의 소나무도 이 정도라면 숲의 소나무들은 어떨까?
ⓒ 최병성

소나무재선충, 서울시 전역이 위험하다

서울 인근의 팔당대교 앞산, 소나무들이 하얗게 떼로 죽었다. 이곳의 소나무는 왜 죽었을까? 정확한 원인을 찾기 위해 산을 올랐다. 원인은 산불이었다. 지난해 산불이 발생해 소나무들이 죽은 것이다. 그러나 소나무 고사 원인이 산불이 전부가 아니었다. 곳곳에 붉은 잎을 달고 죽어가는 소나무들이 많았다. 바로 소나무재선충이었다. 눈을 돌리면 바로 옆에 소나무재선충으로 죽어가는 소나무들이 가득함을 확인할 수 있다.

소나무들이 하얗게 죽었다. 원인은 무엇일까? 저 아래 한강이 흐르고, 팔당대교와 잠실롯데타워 남산, 북한산 등이 보인다. 서울 시내가 가까운 곳에 재선충이 심각하게 확산되었다.
ⓒ 최병성

서울 인근인 팔당대교 앞산에 재선충이 심각하게 확산되어 있다. 소나무가 하얗게 변했다는 것은 이곳에 재선충이 퍼진지 오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림청이 이를 방제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 최병성

문제는 이곳이 팔당대교 인근으로 서울과 아주 가깝다는 점이다.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이 있는 산 위에 서서 바라보았다. 좌측에 잠실 롯데타워와 중앙에 남산타워, 그리고 우측으로 북한산과 도봉산이 한눈에 들어왔다.

카카오맵을 통해 거리를 측정해 보았다. 팔당대교에서 잠실롯데타워 12.8km, 남산타워는 21.4km, 북한산은 25.32.km에 불과했다. 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는 날개가 있다. 언제든 바람을 타고 서울 전역에 재선충을 옮길 수 있는 위기가 닥친 것이다. 제대로 대처하지 않는다면 서울시 전역에 소나무들이 붉게 죽어가는 것을 볼 날이 머지않았다.

재선충이 심각하게 확산 중인 팔당대교에서 서울 시내가 겨우 20km 정도에 불과하다. 서울시내 소나무들이 전멸될 위기가 닥친 것이다.
ⓒ 카카오맵

한국산림과학원과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가 2010년 해외 학회에 발표한 예방적 산림관리를 통한 한국의 소나무 시들음병 관리에 따르면, 1988년 부산에서 시작된 소나무재선충이 1997년 부산에서 55km 떨어진 함안의 남해와 구마고속도로 인근에서 발견되었고, 2002년까지 경남도의 50%에 퍼졌으며, 2001년에 부산에서 245km 떨어진 전남 목포와 115km 떨어진 구미에서 발견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이미 강원도 춘천과 경기도 양평까지 심각하게 확산되어 있는 상태다. 팔당대교에서 서울 전역이 겨우 20km이내에 불과하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서울시와 경기도의 소나무들이 전멸되는 것은 시간문제라 할 것이다.

산림청의 재선충병 방제기술이 세계 최고?

산림청은 지난 4월4일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기술,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이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재선충 방제 기술이 세계 최고라는데, 재선충은 왜 전국으로 확산되며 소나무가 전멸 중인 도시가 증가하는 것일까?

재선충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산림청은 재선충 방제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자랑하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 산림청

산림청은 지난 2003년 소나무재선충을 5년 내에 박멸하겠다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그러나 재선충은 더 확산되었다. 지난 2015년엔 2017년까지 소나무재선충병 완전방제 추진 전략을 마련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소나무재선충병은 전국으로 더 확산되었고, 오늘 서울과 수도권의 소나무들까지 위기를 맞고 있다.

산림청은 2005년까지 재선충을 박멸하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재 재선충은 전국으로 더 확산되어 서울까지 위협하고 있다.
ⓒ 산림청

산림청이 재선충을 박멸하겠다고 수차례 공언했고, 재선충 방제 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자랑하는데, 왜 재선충은 더 심각하게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일까? 지금까지 산림청의 재선충 방제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지 않았고, 재선충이 확산되는 원인을 제대로 살펴보지 않았기 때문은 아닐까?

1988년 재선충이 부산에 들어 온 이후 현재까지 재선충 방제 비용으로 1조 5000억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갔다. 방제비용 1조 5000억 원이 전부가 아니다. 재선충을 핑계로 싹쓸이 벌목한 지역이 많다. 재선충을 핑계로 벌목한 후 조림한 비용은 1조 5000억 원의 방제 비용에 빠져 있다. 만약 재선충으로 인한 벌목 후 조림 비용까지 포함한다면 그 비용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난다. 다시 말해 재선충이 확산될수록 돈을 버는 이들이 있음을 우리는 간과해왔던 것이다.

재선충을 더 이상 감당하지 못하자 싹쓸이 벌목하고 탄소 흡수 능력이 가장 낮은 일본 나무인 편백을 심었다. 이곳엔 그동안 농약 주사도 하고, 감염목을 베어내는 훈증도 수차례 했지만 아무 소용없었다. 아래 사진에 소나무 아래 감염목을 잘라 훈증해 놓은 소나무 무덤들이 보인다.
ⓒ 최병성

산림청의 소나무재선충 방제 방법, 문제 있다

산림청은 재선충 방제를 위해 훈증, 수간주사, 항공방제, 파쇄, 싹쓸이 벌목 등의 방법을 사용해왔다. 과연 재선충 확산 방지에 얼마나 효과적이었을까? 답은 간단하다. 효과가 없으니 재선충이 더 확산된 것이다.

산림청의 재선충 방제 방법들은 오히려 재선충을 더 넓은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해온 것은 아닐까?

여기는 밀양이다. 끝없이 늘어선 검은 자루들이 무엇일까?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를 잘라 독성 농약을 뿌린 후 비닐로 덮어 놓은 일종의 소나무 무덤이다. 이게 바로 산림청이 말하는 재선충 예방을 위한 훈증법이다.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 농약을 뿌리고 비닐로 덮은 소나무 무덤들이다. 주변의 소나무들은 농약 주사를 다 맞았다. 그러나 여전히 죽어가고 있다.
ⓒ 최병성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 훈증해 놓은 소나무 무덤들이 엄청나게 널려 있다.
ⓒ 최병성

이곳에 훈증 비닐이 초록과 검정 두 가지 색이 섞여 있다. 검정색 훈증포는 2023년 봄에 작업한 것이고, 초록색은 2013년과 2017년에 작업한 것이다. 재선충의 확산을 막는다며 2013년과 2017년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벌목해 훈증했다. 그러나 2023년 또다시 재선충에 감염된 엄청난 양의 소나무들을 훈증했다.

2024년 4월과 9월 현장을 세 차례 방문했다. 4월엔 붉게 죽어가는 나무들이 많이 보이지 않았다. 감염목은 이미 벌목해 훈증포로 덮어놨기 때문이다.

2024년4월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훈증해 놓은 더미들이 가득하다.
ⓒ 최병성

그러나 5개월 만인 지난 9월27일 같은 장소의 사진을 보자. 훈증포 주변에 붉게 죽어가는 소나무들이 급격히 증가했다.

9월27일 위의 사진과 동일한 장소임에도 단 5개여월 사이에 재선충 감염목이 급격히 증가했음이 보인다.
ⓒ 최병성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를 잘라 비닐로 덮어 놓으면 마치 재선충을 방제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조금 흐르면 또다시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이 나타난다. 훈증은 재선충 방제가 아니라 감염목을 잘라 비닐로 덮어 일시적으로 재선충 감염목을 우리 눈에 안 보이게 눈 가리고 아웅한 것에 불과하다. 이렇게 훈증으로 반복해 소나무를 벌목해내면 결국 소나무는 전멸하고 숲에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된다. 훈증 방법은 죽은 나무 감추기일 뿐, 올바른 방제가 아니다.

훈증 방법이 왜 소나무재선충병을 더 확산시키는 것일까?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나무를 잘라내 빈 공간이 커지면 숲에 바람이 잘 통하게 된다. 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가 바람을 타고 더 멀리 이동하며 재선충을 확산시키기 좋은 숲이 되는 것이다.

둘째는 나무를 잘라내 빈 공간들이 많아지면 숲에 온도가 올라간다. 갑자기 생육 환경이 달라진 소나무들의 수세가 약해지며 재선충에 더 취약해지는 것이다.

산림청이 숲가꾸기라며 활엽수를 베어내고 소나무만 남겨두는 작업을 전국적으로 벌여왔다. 울창했던 숲에 재선충 감염목 또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니 휑해진 산림 토양에 햇볕이 강하게 들어온다.

벌목으로 텅 빈 공간으로 햇볕이 쏟아져 들어오는 산림 토양의 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해 보았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최고 온도가 80도까지 측정되었다. 다른 온도계로 확인해봤다. 역시 70도가 넘는다. 동일한 날, 같은 시간대에 산에서 내려와 뜨거운 햇살이 비치는 아스팔트 온도를 측정하니 56도에 불과했다.

훈증과 숲가꾸기 등으로 나무를 잘라 빈 공간이 생기면 토양 온도가 급상승한다.
ⓒ 최병성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내는 훈증과 숲가꾸기로 숲에 빈 공간이 생기면 뜨거운 햇살이 산림 토양에 쏟아져 들어오며 온도가 올라간다. 소나무가 병들 수밖에 없는 현실을 만드는 것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는 이유는 고온과 가뭄 때문이다. 기후이상으로 대한민국 전체 온도가 상승되고 있다. 여기에 훈증과 숲가꾸기로 나무들을 베어낸 숲의 온도는 더 급격히 상승된다. 산림 토양은 메말라지며 소나무의 생육 환경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소나무 농약 주입은 효과 있을까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 훈증 해놓은 곳에 살아있는 소나무마다 명찰을 달고 있다. 소나무에 구멍을 뚫고 재선충 농약을 주입했다는 표시다.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 2017년과 2023년 훈증해 비닐로 덮고, 주변에 남은 소나무들에 2024년 농약을 주입하고 명찰을 달았다. 그러나 재선충 예방 주사를 맞았지만 죽어가는 소나무들을 볼 수 있다.
ⓒ 최병성

명찰을 두 개 달고 있는 소나무가 눈에 들어왔다. 2017년과 2024년에 농약을 주입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이곳은 오래전부터 소나무에 농약을 주입하고 감염된 소나무들을 베어내 훈증하며 열심히 관리해 온 곳이다. 그러나 재선충은 더 확산되며 소나무가 전멸 중이다.

재선충 농약을 주입했다는 명찰을 두 개 달고 있다. 2017년 부터 재선충 농약을 주입하며 관리해 온 곳임을 의미한다.
ⓒ 최병성

포항의 도로 옆에 재선충으로 죽어가는 거대한 소나무들을 발견했다. 소나무 아래 서 보았다. 2024년 재선충 예방 주사를 놓았다는 명찰이 달려있다. 그러나 현재 재선충에 감염되어 죽어가고 있었다. 우측에 잎을 다 떨군 소나무는 이미 죽은 지 오래되었음을 의미한다. 소나무 기둥 아랫부분을 살펴보았다. 놀랍게도 수십 개의 구멍들이 숭숭 뚫려 있다. 재선충을 예방한다며 이미 오래전부터 구멍을 뚫고 농약을 주입했음에도 재선충에 감염되어 죽은 것이다.

거대한 소나무들이 재선충 예방 주사를 오랜 기간 맞아왔지만, 재선충에 감염되어 죽어가고 있다.
ⓒ 최병성

소나무 기둥엔 그동안 재선충 예방 주사를 맞은 구멍들이 숭숭 뚫려 있다.
ⓒ 최병성

재선충 치료 백신이 있다

여기는 제주도 월령리에 있는 소나무 숲이다. 2016년 사진에 따르면, 분명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현재까지 잘 살아 있다. 재선충 백신을 맞았기 때문이다. 재선충에 감염되면 100% 고사한다던 산림청 주장이 틀린 것이다.

2016년 재선충에 감염되었던 소나무가 백신을 맞고 지금까지 건강하게 살아 있다.
ⓒ 최병성

2016년 제주도의 백신 실험 현장 사진을 보자. 사진 속 좌측 뒤편에 서 있는 사람이 현재 임상섭 산림청장으로, 2016년 실험 당시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과장이었다. 가운데 인물이 당시 병해충과 사무관으로 현재 정철호 서부지방산림청장이다. 그리고 주사기를 들고 재선충 주입을 준비하고 있는 인물이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변해충연구과 한혜림 과장이다.

2016년 제주도에 백신 실험 현장. 현재 임상섭 산림청장과 정철호 서부지방산림청장과 한혜림 국립산림과학원 과장이 직접 재선충을 주입하며 실험에 참여했고, 그 소나무들이 살아 있다.
ⓒ 성창근

백신 개발자인 성창근 교수가 소나무에 백신을 주입한 후, 산림청이 소나무 한 그루당 3만 마리의 재선충을 투입했다.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건강하게 살아 있다. 백신이 재선충을 치료해냈기 때문이다. 당시 실험 현장에 참여했던 임상섭 산림청장과 한혜림 과장이 누구보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산림청은 재선충에 감염되면 100% 고사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2022년 2월, 국립산림과학원 박현 원장, 한혜림 과장과 5명의 산림과학원 연구원들이 제주도 월령리 현장을 다시 찾아왔다. 2016년 한혜림 과장이 3만 마리의 재선충을 직접 주입했던 소나무들이 지금까지 살아있음을 국립산림과학원장과 한혜림과장과 연구원들이 직접 확인했다.

2022년2월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원장과 한혜림과장과 연구원들이 제주도 실험 현장을 찾아와 2016년 재선충 3만마리를 주입하고도 살아 있는 소나무들을 확인하고 있다.
ⓒ 대덕바이오

박현 원장은 재선충을 주입하고도 6개월 이상 살아있다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며 이 소나무들 중 10그루를 표본으로 골라 번호표를 붙이고, 각 나무에서 가지를 잘랐다. 소나무 가지에 백신이 아직 살아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동일한 시료를 각 10개씩을 국립산림과학원과 성창근 교수가 각각 가져가 분석을 했다. 성창근 교수는 10그루의 소나무 가지 중 7그루에서 백신이 아직 살아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국립산림과학원은 동일한 소나무 가지를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묵묵부답이다.

지난 2023년 봄, 필자가 직접 제주도 월령리 현장을 찾아갔다. 3만 마리의 재선충 주사를 맞고도 살아 있는 소나무들을 내 눈으로 직접 확인했다. 산림청이 번호를 붙인 10그루의 소나무 가지를 채취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표본으로 붙여 놓은 10그루 소나무 가지를 잘라 2016년 주입한 백신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
ⓒ 최병성

제주도 백신 실험 현장 10그루 소나무에서 10개 샘플을 채취하여 국립공원공단과 성창근 교수에게 백신 존재 여부를 분석 의뢰했다.
ⓒ 최병성

정확한 분석을 위해 성창근 교수와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두 곳에 분석을 의뢰했다. 국립공원공단의 분석 결과 10그루 중 8그루에서 백신이 확인되었다.

2016년 소나무에 주입한 백신이 7년이 지난 지난 2023년에도 소나무 가지에 살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 천적백신

이뿐 아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한태만 박사팀은 지난 2021년 경주 남산 국립공원 일대에 실험 구역을 정하고 성창근 교수가 개발한 천적 백신의 효과를 검증했다. 실험 결과, 백신이 재선충 예방뿐 아니라 재선충에 감염되었던 소나무가 치료됨도 확인했다. 관련 기사:
온 국민 농약 흡입 방치... 산림청이 은폐한 소나무 주사의 실체
https://omn.kr/239hu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한태만 박사는 백신 실험 결과 재선충 예방은 물론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도 치료됨을 확인했다.
ⓒ 한태만

문제는 산림청이다. 산림청은 백신이 효과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보공개를 통해 산림청의 백신 실험 과정을 확인해 보았다. 산림청이 조달청을 통한 백신 용역 입찰은 4월30일이고, 계약은 5월10일이다.

그런데 용역 수행자인 모대학 관계자가 백신을 구입한 날은 2월 22일이다. 백신은 나무 안에서는 수년을 살 수 있지만, 플라스틱 통 안에서 약효 유효 기간은 한 달에 불과하다. 의혹이 생기는 지점이다.

백신 실험을 위한 산림청의 계약서는 2022년5월10일인데. 용역 수행자인 모 대학의 백신 구입일은 2월22일이다.
ⓒ 산림청

지난 36여 년간 1조 5000억 원을 쓰고도 재선충이 전국으로 더 확산되고 있다면, 이는 지금껏 산림청이 썼던 방제 방법이 잘못됐음을 확인한 셈이다.

산림청이 진정 소나무를 살리기를 원한다면, 백신 개발자와 함께 더 효능 좋은 백신이 되도록 노력함이 정부 기관의 마땅한 역할이 아니었을까?

전국의 소나무들이 재선충으로 죽어가고 있다. 서울도 재선충의 심각한 위협에 놓여 있다. 지금처럼 재선충 방제를 산림청에 맡겨둔다면 대한민국 소나무의 전멸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마이뉴스 시리즈에서 연재하세요!
▶오마이뉴스 취재 후원하기
▶모바일로 즐기는 오마이뉴스
☞ 모바일 앱 [ 아이폰] [ 안드로이드]
☞ 공식 SNS [ 페이스북] [ 트위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63
어제
1,981
최대
3,806
전체
761,25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