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오늘 출근길 시간당 40㎜ 집중호우…1차 장마 시작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수도권 오늘 출근길 시간당 40㎜ 집중호우…1차 장마 시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9회 작성일 23-06-25 20:55

본문

뉴스 기사
장맛비가 내린 25일 제주도 제주국제공항에서 관광객들이 우산을 쓰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맛비가 내린 25일 제주도 제주국제공항에서 관광객들이 우산을 쓰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우리나라로 올라온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26~27일 전국에 폭우가 예보됐다. 특히 비구름이 한반도 중심을 통과하는 26일 오전 출근길에 중부지방과 호남·경남권을 중심으로 시간당 20~40㎜ 집중호우가 예상된다. ‘시간당 15㎜ 이상’이면 굵은 빗줄기로 앞이 잘 보이지 않을 때가 많다.

기상청은 중국 상하이에서 제주까지 걸쳐 있던 정체전선이 26일 한반도에 상륙하면서 전국에 강하고 많은 비를 뿌리겠다고 25일 예보했다. 정체전선과 함께 한반도로 들어오는 따뜻하고 습한 남풍南風이 비구름대의 위력을 키우겠다. 이번 장마는 25~27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100㎜ 안팎 비를 뿌린 후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다 28일부터 주말까지 전국에 다시 많은 비를 뿌리겠다.

일본 규슈 지방을 휩쓴 장마전선은 우리나라 쪽으로 접근해 25일 낮까지 제주와 남해안에 100㎜ 이상 많은 비를 쏟아냈다. 비구름대는 25일 오후부터 26일 오전 사이 서해상을 통과하겠다. 이때 비의 영향권에 놓이는 중부지방과 경상·호남권에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이번 비의 ‘정점’이 26일 오전으로 예상되는 만큼 출근길 교통 사고 등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이후 비구름대는 26일 밤부터 27일 오전까지 다시 제주와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또 한 차례 강한 비를 쏟아내겠다.

올해 첫 장맛비가 본격적으로 내린 25일 한라산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탐방로가 전면 통제됐다. 관광객들이 한라산 성판악 탐방로 입구를 향해 우산을 쓰고 걸어가고 있다.2023.6.25/뉴스1

올해 첫 장맛비가 본격적으로 내린 25일 한라산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탐방로가 전면 통제됐다. 관광객들이 한라산 성판악 탐방로 입구를 향해 우산을 쓰고 걸어가고 있다.2023.6.25/뉴스1

장마전선은 평년보다 해수면 온도가 높아진 바다를 지나며 많은 양의 수증기를 흡수해 덩치를 키워 우리나라에 상륙했다. 여기에 중국 쪽 저기압과 일본 쪽 고기압 사이에 만들어진 ‘바람 통로’로 남쪽에서 온난 습윤한 공기가 한반도로 유입됐다. 비구름대가 습기를 공급받아 강수량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25~27일 예상 강수량은 제주도 100~300㎜, 호남·경남권 80~150㎜, 수도권과 충청·경북·강원권 30~100㎜ 등이다. 제주 산지는 500㎜ 이상, 남해안과 지리산에는 200㎜ 이상 비가 내리겠다.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집중호우 현상도 우려된다. 제주·남해안·지리산은 강수량이 최대 시간당 40~60㎜에 이르겠고, 나머지 지역도 시간당 20~40㎜의 비가 예상된다. 앞이 잘 안 보일 정도다. 이번 비의 정점은 제주도가 25일 오전부터 밤, 경상·전라권이 25일 오후부터 26일 오전, 수도권과 충청·강원권이 26일 새벽부터 오전이라고 기상청은 밝혔다.

그래픽=김의균

그래픽=김의균

장마를 앞두고 중부지방 일부에 발령됐던 폭염 특보는 25일 해제됐다. 26일부터는 전국 기온이 25일보다 2~7도가량 떨어지며 선선해지겠다. 26일 아침 최저기온은 19~23도, 낮 최고기온은 24~28도로 예보됐다.

비는 27일 중부지방이 저기압 영향권에서 차차 벗어나며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겠다. 그러나 비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25~27일 내린 비를 ‘1차 장마’로 본다면, 27일 오후부터 일본 쪽 북태평양 고기압이 서쪽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정체전선을 형성해 28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2차 장마’를 만들겠다. 이번 한 주 내내 우리나라 전역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 비 피해를 안기는 것은 1차 장마보다는 28일부터 시작하는 2차 장마일 가능성이 크다. 2차 때 우리나라에 비를 뿌리는 정체전선의 형태가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남북으로 폭은 좁고, 동서로 긴 모양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형태의 정체전선은 집중호우를 뿌린다는 특징이 있다. 비 피해는 절대적 강수량도 영향을 미치지만, 배수 시설 등 사회 인프라가 감당할 수 있는 양 이상의 많은 비가 단시간에 퍼부을 때 더 크게 발생한다.

작년 8월 8일 서울을 잠기게 만든 141.5㎜의 집중호우 당시에도 정체전선의 모양이 폭은 좁고, 길이는 길었다. 같은 양의 비라도 정체전선 폭이 넓으면 적은 양의 비가 넓은 지역에 골고루 내린다. 반대로 폭이 좁으면 많은 양의 비가 좁은 지역에 강하게 쏟아진다. 물이 좁은 구멍을 통과할 때 강하게 내뿜는 것과 유사하다. 작년 집중호우 때도 폭이 좁은 정체전선 바로 아래 놓여 있던 중부지방에 하루 100~300㎜ 안팎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작년과 비슷한 상황이 재현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일주일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에 많은 장맛비가 예보되면서 작년과 같은 지역별 극단적 강수 편차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중부지방은 폭우, 남부지방은 가뭄에 시달렸다. 최근에는 장마가 끝난 후에 더 많은 비가 내리는 현상도 보이고 있다. 올해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많은 양의 수증기를 보낼 수 있는 ‘엘리뇨 현상’이 점차 강해지면 8월에도 폭우로 인한 홍수 피해가 우려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박상현 기자 blue@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43
어제
877
최대
2,563
전체
417,90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