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우리 집도 꼭 필요한데…다급해진 사람들 우르르 >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사회기사 | natenews rank

[자막뉴스] 우리 집도 꼭 필요한데…다급해진 사람들 우르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3-07-12 06:25 조회 55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약국 거리로 유명한 서울 종로구,

이른 시간부터 판매대에 서 있는 열댓 명의 약사마다 손님맞이에 바쁩니다.

다른 지역보다 약값이 싸다 보니, 몇 달 치 약을 사기 위해 멀리서 찾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최정희·이구순 / 서울시 등촌동 : 요즘 병원비도 비싸지만 약값도 장난 아니에요. 몇십만 원씩 나오고.]

[최정희·이구순 / 서울시 등촌동 : 약국마다 5백 원에서 천 원씩 차이가 나요. 파스 같은 건. 다른 데보다 여기가 좀 싸다 그래서 종로까지 오게 됐어요.]

이처럼 조금이라도 싸게 상비약을 직접 찾아다니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건, 최근 제약업계가 일반 의약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기 때문입니다.

약값이 비싸진 이유는 원재료 값이 오른 영향이 큰데, 특히 약국에서 흔히 찾는 해열 진통제와 소화제가 크게 올랐습니다.

코로나 당시 한때 품귀 현상까지 빚었던 타이레놀ER 제품은 1년 사이 가격이 25%나 뛰었습니다.

게보린 가격도 지난 상반기에 10% 가까이 인상됐고, 까스활명수 가격도 이달 들어 15% 올랐습니다.

노령층이 주로 찾는 파스나 관절염 치료제 가격도 올해 10% 넘게 두 자릿수 인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편의점이나 동네 주변에 있는 중·소형 약국에선 대형약국보다 더 비싼 가격에 판매할 수밖에 없습니다.

[강한호 / 약사 : 나이 드신 분들은 이해가 안 되는지 물가가 다 오르니까 뭐 그렇긴 하다 그러지만, 설명해야 하고 그러니까.]

제약업계는 고환율과 중국발 공급망 문제로 제조원가가 오르면서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합니다.

전문의약품 가격 통제에 따른 풍선효과 영향도 큽니다.

전문의약품은 정부의 통제로 쉽게 가격을 올리지 못하다 보니, 자율적으로 가격을 정하는 일반의약품에 그만큼 비용 인상분을 전가한다는 겁니다.

[제약업계 관계자 : 조제약으로 나오는 전문의약품은 국가가 뭐 통제한다는 말로도 표현할 수 있겠지만, 약값을 고시를 해요. 갑자기 등락이 왔다 갔다 하는 부분은 아니에요. 그런데 일반 의약품 같은 경우는 그렇게 가능하죠.]

식료품 물가 고공행진 속에 건강과 밀접한 상비약 인상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여 환자들의 약값 부담도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YTN 권준수입니다.

촬영기자 : 이근혁

그래픽 : 홍명화

자막뉴스 : 이선

#약국원정 #약값인상 #물가인상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