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랴부랴 설치, 철거에 58억…재활용 못하는 잼버리 부지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부랴부랴 설치, 철거에 58억…재활용 못하는 잼버리 부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3-08-14 06:23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잼버리 대회는 이렇게 끝났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감당해야 할 숙제는 만만치 않습니다. 우선 200억 넘게 써가며 급히 설치했던 새만금 야영지의 전기와 상하수도 시설을 철거해야 하는데 이 비용이 많게는 58억 원까지 들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박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19일, 새만금 잼버리장에 설치될 샤워장의 바닥 부분입니다.

대회가 2주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야 설치가 시작된 겁니다.

그다음 날 설치된 샤워실에서는 온수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대회 시작 사흘 전, "샤워장 보일러 연결 부분이 파손돼 누수가 발생"했고, "화장실 물 내림이 잘 안 되고 좌변기 파이프가 파손"됐다며 수리 요구가 빗발쳤습니다.

[잼버리 현장 노동자 : 어차피 2주 있다가 철거할 거니까 빨리빨리 치고 나가라고… 작업 중에 더위로 동료 한 명이 쓰러지려고 해서 마무리 짓고 나왔거든요.]

농수산부 문서입니다.

잼버리가 끝나면, 화장실, 샤워실, 전기, 상하수도시설까지 모두 철거하고 부지를 원래대로 돌려놔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2주만 버티면 된다는 인식이 정부 부처는 물론, 공사업체에까지 퍼지면서, 잼버리 파행은 예고된 것이었습니다.

잼버리 대원 이동 편의를 위해 배수로 폭도 절반으로 줄이는 등 야영지 맞춤으로 조성한 부지라, 용도를 바꿔 활용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205억 원을 들여서 설치한 설비를, 최대 58억 원 들여서 철거해야 하는 상황.

[박상인/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 장기적인 사용계획이 없다 보니까, 부지에 또다시 돈이 들어가야 하는 상황인 거죠. 왜 이렇게 계획도 제대로 안 됐고, 집행도 제대로 안 됐는지….]

지난 2015년 일본 잼버리가 열렸던 부지는 새만금과 같은 매립지지만, 개최 전 일찌감치 공원과 컨벤션 장으로 쓸 계획을 세워놔 지금도 잘 활용되고 있습니다.

1,171억 원을 넘는 예산을 쏟아부은 여의도 3배 면적 부지에는, 부지와 마찬가지로 용도도 정해지지 않은 채, 추가 공사가 진행될 잼버리 메인 센터만 덩그러니 남게 됐습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 영상편집 : 박기덕, CG : 김문성

박재현 기자 replay@sbs.co.kr

인/기/기/사

◆ 팔꿈치 수술 후 복귀 류현진…444일 만에 승리투수 됐다

◆ 왕의 DNA 교육부 직원 "편지는 임의로 쓴 게 아니라…"

◆ 오늘 택배 없는 날인데…당신의 택배가 도착한 이유

◆ 군인들 고깃집 나가는데 "이미 계산"…감사에 돌아온 답

◆ 디카 보던 이상민 "아, 대게녀다"…공간 전문가 "버려라"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amp;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28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0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