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전 대비한다…응급대응체계·비대면 강화하고 간호사 활용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장기전 대비한다…응급대응체계·비대면 강화하고 간호사 활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9회 작성일 24-03-04 17:59

본문

뉴스 기사
전공의 이탈 지속에 정부 강경대응…사태 장기화 불가피
응급실 뺑뺑이 없도록 응급환자 이송 컨트롤타워 마련
대체인력 투입 등 위해 1천200억원 예비비 지원
전공의 대신할 간호사 보호책 마련…비대면 진료도 전면 확대

장기전 대비한다…응급대응체계·비대면 강화하고 간호사 활용오늘까지 복구하면 선처, 전공의 집단행동 강행? 복귀?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고 있는 3일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한 시민이 화살표가 그려진 응급실 앞을 지나고 있다. 2024.3.3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정부의 강한 압박에도 전공의들의 복귀가 미미한 가운데, 정부가 응급 대응을 강화하는 등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다.

무더기 면허정지 등으로 전공의 공백 상황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만큼, 중증 응급환자가 적기에 치료받도록 하고 비대면 진료와 간호사 역할 등을 크게 확대해 그 공백을 최대한 메운다는 전략이다.

4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복지부는 이날 현장점검을 통해 업무복귀명령에도 의료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 파악에 나섰다. 이탈이 확인되면 명령불이행 확인서를 발급하고 3개월 이상 면허정지 처분을 할 방침이다.

우선 처분 대상자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송달고지한 대한전공의협회대전협 비대위 지도부와 각 수련병원 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는 이후 기계적으로 미복귀자 모두에게 면허정지 등의 처분을 할 계획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처분이 불가역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최소 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이 불가피한데, 전공의 수련 기간을 충족하지 못해 전문의 자격취득 시기가 1년 이상 늦춰진다"고 경고했다.


PYH2024022716370001300_P2.jpg간호사에게 몰리는 일감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전공의 집단 이탈이 일주일 이상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7일 오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간호사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2024.2.27 hwayoung7@yna.co.kr

박 차관의 설명대로 일단 복지부가 면허정지를 내리기 시작하면 사태의 장기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복귀할 수도 있지만, 상당수의 전공의가 집단행동 차원에서 혹은 정부의 면허정지 처분에 따라 병원에 남을 수 없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복지부는 전공의 공백 상황이 길어질 것으로 보고, 의료 현장의 혼란을 줄이는 데 역량을 모으고 있다.

정부의 대응은 크게 ▲ 응급대응체계 강화 ▲ 비대면 진료 전면 허용 ▲ 예비재원 투입 ▲ 간호사 역할 확대 등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복지부는 서울과 대전, 대구, 광주 4개 권역에서 긴급대응 응급의료상황실 운영을 시작한다. 응급환자가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돼 제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마련된 긴급상황실은 서울 지역에서 응급환자의 전원을 종합적으로 조정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복지부는 당장 응급·중증 의료에서 큰 구멍은 발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전공의 집단행동 중 경증환자가 대형병원 응급실 대신 동네 병원이나 의원을 찾는 분위기도 확산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2월 29일 응급실에 내원한 경증환자 수는 2월 1일~7일 평균 대비 30% 감소했다.


PYH2024030306660001300_P2.jpg신중하게 총리 발언 듣는 조규홍 장관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복지부는 이에 앞서 지난달 23일부터 비대면 진료를 전면 확대했다.

대형병원 환자를 병원급 혹은 의원급 의료기관의 비대면 진료로 흡수하려는 의도에서다. 의료취약 지역이 아닌 곳에서도 평일에, 의원뿐 아니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도 가능하도록 비대면 진료를 개방했다.

전면 확대 이후 비대면 진료 이용건수는 2배 수준으로 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큰 병원의 환자를 더 작은 병·의원으로 분산하는 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병원에서 대체인력을 채용하고 공공병원 운영을 연장하는데 사용할 재정을 지원하기로 했다.

예비비는 오는 6일 국무회의에서 결정되는데, 1천200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진료지원 인력의 업무지침을 보완해 전공의들의 역할을 일부 대신하고 있는 간호사에 대한 법적 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지난달 26일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의 범위는 의료기관의 장이 내부 위원회를 구성하거나, 간호부서장과 협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진료지원인력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정부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물러설 기미가 보이지 않는 없는 상황에서 사태의 장기화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며 "전공의 집단행동을 계기로 의료 현장에서 불거진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중증이나 위급한 환자가 제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PYH2024030309180001300_P2.jpg여의도대로에 모인 의료계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3일 오후 서울 여의도공원 옆 여의대로 인근에서 열린 의대정원 증원 및 필수의료 패키지 저지를 위한 전국의사 총궐기대회에서 의협 지도부 등 참가자들이 손을 잡고 상록수를 부르고 있다. 2024.3.3 mon@yna.co.kr

bkkim@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연세대 총장 "증원 힘들다는 의대교수들 의견, 대학본부에 제시"
사망사고 내고 "딸이 그랬다" 운전자 바꿔치기한 60대 송치
김신영, KBS 전국노래자랑서 돌연 하차…남희석 새 MC 확정
의사면허 무더기 취소될까…면허 다시 받는 것도 까다롭다
"20대라고 해달라"…여론조사 거짓응답 유도 혐의 후보 고발돼
"진저리, 이젠 정말 끝내고 싶어"…노년층 이혼상담 급증
경찰, 남현희 전청조 사기 공범 의혹 무혐의 결론
"보물처럼 귀해요" 강원 탄광지 초등학교 나홀로 입학식
[삶] 내 인생 괜찮았는데, 이젠 그좋다는 국회의원 한번 해봐야겠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67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7,01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