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환자 100만명…20대女 5년간 2배 넘게 폭증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우울증 환자 100만명…20대女 5년간 2배 넘게 폭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1회 작성일 23-10-04 06:04

본문

뉴스 기사
건보공단 진료 인원 현황

2018년 대비 환자 25만명 폭증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아

포스트 코로나 등 영향에 증가세

청소년, 스마트폰 쓸수록 더 우울

“재난 발생 3년 후 극단선택 위험 ↑

정신건강 상담체계 확대 등 시급”


우울증으로 병·의원을 찾은 환자가 지난해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었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우울증 진료 문턱이 과거보다 낮아졌고,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같은 재난 발생 이후 3년 뒤 극단적 선택 위험도가 가장 높아지는 만큼 국민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상담 체계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울증 환자 100만명…20대女 5년간 2배 넘게 폭증
게티이미지뱅크
3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8∼2022년 우울증 진료 인원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100만744명으로 집계됐다. 우울증 환자는 △2018년 75만2976명 △2019년 79만9011명 △2020년 83만2378명 △2021년 91만5298명 등 해마다 늘더니 지난해 100만명을 넘어섰다.

여성이 67만4555명으로 남성 32만6189명보다 2배 이상 많았는데, 20대 여성 우울증 환자 증가 추세가 가팔랐다. 20대 여성 환자는 2018년 5만7696명에서 지난해 12만1534명으로 2배 이상110.7% 늘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8만5942명18.6%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6만108명16%, 60대 14만3090명14.3%, 40대 14만2086명14.2%, 50대 12만6453명12.6%, 70대 11만883명11.1%, 80세 이상 7만1021명7.1% 순이었다.
우울증 환자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해국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포스트 코로나’ 영향과 경제적 불황, 디지털 미디어 중독 문제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 5년 이상은 우울증 환자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학창 시절이 코로나19 유행 시기와 겹쳤던 어린 세대는 친구들과 정서적 교감은 부족한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디지털 미디어 의존도는 높은 탓에 정신건강 문제가 갈수록 심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보건협회 학술지 대한보건연구에 실린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수록 청소년의 우울 수준도 높아졌다.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우울척도를 측정해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 4학년의 경우 평일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4시간 이상인 학생의 우울 점수는 평균 18.37점40점 만점으로, 30분 미만인 학생들의 평균 점수14.83점보다 높았다. 중학교 1학년도 우울 점수 평균이 각각 21.16점, 15.12점으로 차이가 났다.

재난 발생 이후 취약계층 정신건강 문제가 두드러질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재난 발생 후 3년이 지나고 보통 극단적 선택 위험도가 정점에 달한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재난 당시에는 위기극복을 위한 연대감이 오히려 취약계층의 심리적 안정을 받쳐 주지만, 재난 이후 사회·경제적 어려움 등이 해소되지 않으면 우울증이나 무력감이 계속될 수 있어서다. 이 교수는 “운동과 대인 관계, 문화 활동 등 균형 잡힌 삶이 중요하다”며 “술이나 SNS 등에 의지해 짧은 만족을 추구하다 보면 우울감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정신건강 문제는 일시적 관점이 아닌 학교와 직장, 지역사회에서 정신상담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한 기자 ha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51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27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