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카페서 일회용컵 쓰면 2025년부터 보증금 300원 부과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서울 카페서 일회용컵 쓰면 2025년부터 보증금 300원 부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23-09-07 10:01

본문

뉴스 기사
서울시,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 발표…한강공원 일회용기 반입 금지

서울 카페서 일회용컵 쓰면 2025년부터 보증금 300원 부과서울특별시청
[촬영 이도흔]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서울시가 플라스틱 발생량은 10% 줄이고 재활용률은 10%포인트 끌어올리는 데 정책적 역량을 모은다.

2025년부터 일회용 컵을 사용하면 보증금 300원을 부과하고 한강공원에서는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이 단계적으로 금지된다.

시는 7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 일회용 플라스틱 없는 건강한 일상 조성 ▲ 재활용품 분리배출 인프라 확충 ▲ 플라스틱 자원화·선순환 체계 구축 등 3대 추진전략과 22개 세부 과제로 이뤄졌다.

시는 하루 플라스틱 발생량을 현재 2천753t에서 2026년 2천478t까지 줄이고자 감축 효과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일회용 컵, 음식 배달 용기, 상품 포장재 3개 품목부터 사용량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2025년부터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도입해 커피전문점 등에서 일회용 컵을 쓰면 보증금 300원을 내야 한다. 지난해 말부터 세종·제주에서 시행 중인 제도를 벤치마킹했다.

배달플랫폼에서 음식을 주문할 때 다회용 그릇에 담아주는 제로 식당 서비스는 현재 강남·서초 등 10개 자치구에서 2026년까지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한강공원은 일회용 배달용기 반입 금지구역제로 플라스틱존으로 운영된다. 올해 잠수교 일대를 시작으로 2024년 뚝섬·반포, 2025년 한강공원 전역으로 확대한다.

그동안 일회용품을 대량으로 사용해온 장례식장, 행사·축제, 체육시설은 다회용 컵과 용기를 사용하는 제로 플라스틱 거점으로 전환한다.

시는 지난달 서울의료원 장례식장에 다회용기를 전면 도입했으며 내년부터 시내 64개 민간 장례식장으로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한다.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모든 행사·축제의 푸드트럭은 다회용기 사용이 의무화된다.


C0A8CA3C00000164DA8E21840000EFE5_P2.jpeg카페에서 사용하는 일회용품
[연합뉴스TV 제공]

재활용률은 현재 69%에서 79%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을 제대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인프라를 확충한다.

단독주택·도시형 생활주택 밀집 지역 재활용 분리배출 거점은 현재 1만3천곳에서 2026년까지 2만곳으로 늘린다. 또 동네마다 자원관리사를 지정해 재활용품 배출을 돕는다.

버스정류장·원룸촌 등 재활용 쓰레기가 무분별하게 뒤섞여 배출되는 사각지대에는 분리배출함과 스마트 회수기 등을 설치한다.

시는 신규 건축물 설계나 모아타운 등 소규모 주택 정비 사업을 추진할 때 재활용품 분리배출 공간을 꼭 확보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해 건축·정비사업 분야 업체에 배포할 계획이다.

또 플라스틱 열분해 기술을 이용해 오염되거나 복합 재질로 된 폐비닐을 연료유 또는 재생 원료로 재활용하는 도시원유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시는 올해 4월 GS칼텍스, HD현대오일뱅크, LG화학, SK지오센트릭 등 4개 정유화학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2026년까지 연간 8만6천t 폐비닐을 공급해 열분해유를 만들기로 했다.

시 자체적으로도 재활용 제품 사용을 늘린다. 내년부터는 병물아리수 병을 100% 재생원료로 만들고 수도계량기 보호통이나 보도블록 등 공공시설물에도 비닐·플라스틱 재활용품을 사용한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플라스틱 문제는 이제 더 이상 늦춰선 안 될 도시와 인류 생존을 위한 당면 과제"라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폐기물 자원을 활용해 서울이 세계적인 순환경제 모범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동참해달라"고 말했다.


AKR20230906162400004_05_i.jpg일회용 플라스틱 감축 종합대책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readiness@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틱톡 바람 탄 김밥 美서 품절되니 이젠 한인마트로 시선 집중"
석방된 김만배 "尹, 그런 위치 아니었다"…조작 인터뷰 부인
재미로 모르는 여성 지인능욕 사진 게시…고심 끝 소년부 송치
정은경 전 질병청장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임상교수로 임용
회식서 취한 수강생 성폭행한 주짓수 관장…징역 4년
우크라 참전 이근, 무면허 운전으로 입건
[삶] 함운경 "586정치인들, 南이 北보다 우월하다는 것은 인정하나요"
멕시코시티 마라톤서 역대급 꼼수 완주…1만1천명 실격
김히어라, 학폭 의혹에 "사실과 달라…강력 대응할 것"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58
어제
1,352
최대
2,563
전체
433,74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