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외래 삐그덕" "새 환자 못 받을 수도" 총파업에 의료계 비상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응급실·외래 삐그덕" "새 환자 못 받을 수도" 총파업에 의료계 비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0회 작성일 23-07-13 09:51

본문

뉴스 기사
19년만에 총파업 돌입한 보건의료노조


quot;응급실·외래 삐그덕quot; quot;새 환자 못 받을 수도quot; 총파업에 의료계 비상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가 총파업에 돌입한 13일 서울 강서구 서울이대병원 복도에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이날 오전부터 140여 개 의료기관, 보건의료 인력 4만5000명 가량이 처우개선과 공공의료 확충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으며 이는 지난 2004년 의료 민영화 저지를 위한 파업 후 19년 만이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김빛나·박지영 기자] 13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 산하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19년만에 대규모 총파업이 시작되면서 ‘의료 현장 마비’가 현실화됐다. 수술이 취소되거나 입원 환자 퇴원 사례가 느는 가운데 파업이 장기화 하면 상황이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부터 보건의료노조 산하 127개 지부 145개 사업장의료기관 소속 노조원 4만5000명이 파업에 돌입한

다. 파업에 참여하는 직종은 간호사를 중심으로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약사, 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의료부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대부분이고, 의사도 일부 가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업 사업장은 사립대병원지부 29개, 국립대병원지부 12개, 특수목적공공병원지부 12개, 대한적십자사지부 26개, 지방의료원지부 26개 등이다.

이번 파업은 지난 2004년 의료민영화 저지·주5일제 관철을 주장하며 파업한 이후 19년 만에 처음이다.

노조가 파업을 무기한으로 예고하면서 병원에는 비상이 걸렸다. 양산부산대 병원 관계자는 “응급실, 외래 다 정상운영이 안 되고 있다”며 “예약 환자 수 대비 간호 인력이 부족해서 진료 시간도 오래 걸린다”고 말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소방 당국에 ‘응급 이송 자제’를 통보했다.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는 “정상운영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환자를 계속 밀어넣는건 환자 안전 문제가 있어, 일단은 상황이 조율이 되고 그 다음에 계속 받겠다는 의미”라며 “소방당국에 환자 이송 및 전원 자제를 요청했지만, 환자를 보내지 말라는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서울권역응급의료센터인 한양대병원 관계자는 “새 환자를 받는 게 쉽지 않을 것 같다”며 “환자 이송이나 전원 자제 요청을 하지는 않는데, 내부 회의를 통해서 현 시점 이후에 너무 갑자기 쏠린다든가 여력이 안 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어떻게 할 지 논의 중이다”고 말했다. 강동경희대병원 관계자는 “외래가 취소된 건 아니지만 당일 진료 접수를 안 받고, 예약 환자더라도 검사나 이런 것들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 시간 길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20230713000279_0.jpg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가 총파업에 돌입한 13일 서울 강서구 서울이대병원 복도에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이날 오전부터 140여 개 의료기관, 보건의료 인력 4만5000명 가량이 처우개선과 공공의료 확충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으며 이는 지난 2004년 의료 민영화 저지를 위한 파업 후 19년 만이다. 임세준 기자

중증환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이른바 서울의 주요 5대 병원 가운데는 파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이 없지만, 전국의 45개 상급종합병원 가운데 18곳이 파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루 45건 정도 암 수술을 진행하는 국립암센터는 암 환자 수술 100여 건을 전날 취소했다. 외래진료 건수도 2000건 이상 취소됐다. 국립중앙의료원은 홈페이지에 파업 예정 사실을 알리고“ 빠른 예약 업무가 지연될 수 있다”고 공지하면서 “정상진료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정부는 총파업을 ‘정치파업’으로 규정하고 강경 대응에 나섰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 등과 함께 보건의료 관련 현안점검회의를 한 뒤 총파업에 대해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막대한 위해를 끼칠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전날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파업 대상인 18개 상급종합병원 원장들과의 긴급상황점검회의에서 “환자의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파업은 정당하지 않다”며 “노조는 파업계획을 철회하고 환자 곁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노조 측은 총파업 기간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 환자생명과 직결된 업무에 필수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또 의료기관 내 응급상황에 대비 응급대기반CPR팀을 구성·가동 중이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 인력을 확충 등을 보건복지부와 각 병원에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확대를 통한 간병비 해결, 보건의료인력 확충 등을 요구하며 지난 5월부터 사측과 교섭을 진행했지만 타결을 이루지 못했다.



binna@heraldcorp.com
go@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현영측 "월 7% 이자에 5억 송금, 나도 피해자"
▶ 쥬얼리 출신 방송인 이지현, 촬영 중 ‘눈 부상’으로 응급실行
▶ "감금된 동남아女들과 성매매" 민주당 청년 도의원 누구?
▶ 좀비마약까지 손댄 고등래퍼…"음악으로 사회 공헌하고파"
▶ "얼마나 저속하길래"…中 틱톡, 저속·선정적 이유로 계정 22개 삭제
▶ "파리서 데이트 목격"…블랙핑크 리사, 세계 2위 부호 아들과 열애설
▶ 스티븐유 비자 발급 소송 오늘 판결난다…일곱번째 판결 결과 주목
▶ 개그우먼 이지수 사망, 향년 30세…동료들 충격
▶ ‘故최진실 딸’ 최준희, 외할머니 욕설·CCTV 공개…“소름끼치고 무서워”
▶ ‘PSG 첫 훈련’ 이강인, 네이마르와 투샷…음바페는 안 보이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84
어제
840
최대
2,563
전체
418,59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