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른이네? 아니 스물여덟인데"…만 나이 첫 새해 혼란 여전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올해 서른이네? 아니 스물여덟인데"…만 나이 첫 새해 혼란 여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1회 작성일 24-01-05 06:00

본문

뉴스 기사


28일 서울 송파구청에 붙은 만 나이 통일법 시행 관련 안내문. 2023.6.28/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서울=뉴스1 임윤지 기자 = "너도 벌써 올해 서른이 됐구나?"

서울 성동구에 사는 오모씨28는 새해를 맞아 고민거리가 하나 늘었다. 만 나이로 통일된 지 벌써 반년이 돼가는데도 주변에선 올해 서른이라 말한다. 아직 만 28세라고 해도 "아니 한국식으로 말이야"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만 나이 통일법 시행으로 만 나이가 한국 표준 지정됐다. 이에 따라 새해가 되더라도 예전과 달리 한 살을 더 먹는 게 아니다. 하지만 주위 대부분은 여전히 해가 바뀌면 한 살을 더 먹는 한국식 나이 셈법으로 나이를 계산하고 있다.

만 나이는 지난 1962년 도입됐지만 민법·행정상으로만 쓰여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행정 현장에서 민원이 발생하거나 나이 해석을 둘러싼 법적 분쟁이 장기화하는 등 사회적 비용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고자 지난 6월 통과된 만 나이 통일법 개정안은 만 나이가 일상생활까지 통용될 수 있도록 명문화해 다양한 나이 셈법으로 생겨나는 각종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거란 기대를 불러 모았다.

하지만 만 나이 통일법의 취지와 달리 일상생활에서 여전히 1월1일을 기준으로 1살씩 더하는 세는 나이가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사람들은 각자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제각기 다른 계산법으로 나이를 세는 풍경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 소재 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선모씨21 "아직 나이가 한두 살 적어지는 게 별 의미 없다고 생각해 여태 써온 대로 편하게 세는 나이를 쓴다"며 "반면 부모님은 젊어지는 것 같다며 만 나이를 사용하신다"고 말했다.

만 나이와 세는 나이를 혼용하는 이들도 있었다. 서울 동대문구에 거주하는 김모씨33는 "상대와 내가 나이를 세는 방식이 다르면 호칭도 달라지기 때문에 나 역시 상대방이 쓰는 나이 셈법에 맞춰서 말한다"며 "사회에선 만 나이를 쓰고 친구들끼리는 세는 나이를 그대로 쓴다"고 밝혔다.

만 나이가 도입됐으나 주위에서 쓰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세는 나이로 말한다는 이들도 적지 않다. 실제로 지난달 28일 법제처가 성인남녀 2만22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만 나이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상대방이 만 나이를 사용하지 않아 아직 어색하고 조심스럽다고 답한 비율이 51.5%1만3248명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방 공무원 생활 3년 차인 조모씨27는 "친구들이나 또래 만날 땐 만 나이를 말하곤 하는데 직장에선 그냥 한국식 나이로 말한다"고 했다. 이어 조씨는 "직장에서도 만 나이를 말했다가 어린애가 더 나이를 줄이냐는 장난 섞인 말을 들은 적이 있다"며 "괜히 나이 가지고 유난 떠는 것 같아 그냥 원래대로 한국식 나이를 말하게 된다"고 말했다.

immun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05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62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