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엔 약도 못 썼는데…핏줄 혹 호빈이가 15명 살리다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작년엔 약도 못 썼는데…핏줄 혹 호빈이가 15명 살리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8회 작성일 24-10-01 20:59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핏줄 안에 혹이 생기는 희소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호빈이라는 아이가 있습니다. 아직 2살이 안 됐다는 이유로 신약 치료의 기회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연을 저희가 지난해 전해드렸었는데, 그 뒤로 1년 반이 지난 지금 호빈이는 어떻게 지내고 있을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3월, 13개월이던 호빈이는 온몸 혈관에 혹이 덩어리지고 있었습니다.

치료법이 없어 낙담하던 주치의에게 프랑스 논문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신약 투여로 호전된 유럽 아기 연구였습니다.

[이범희/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지난해 3월 : 논문 사례가 호빈이랑 굉장히 비슷하죠? 12개월 치료하고 이만큼 좋아진 거예요. 이걸 보면 그냥 가만히 있을 수 없어요.]

신약을 만든 다국적 제약사가 무료 지원의 호의를 밝혔지만, 우리 정부의 벽에 막혔습니다.

호빈이가 2세 미만이라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이유였습니다.

문제는 이 희소병에 대한 경험이 적은 전문가들이 내린 결정이었다는 점입니다.

부모는 2세 미만 투약 사례를 직접 찾아 헤맸습니다.

[호빈이 아버지 지난해 3월 : 미국에 있는 병원 그리고 이 약에 대해 임상했던 병원 리스트를 다 뽑아서 조사했습니다.]

미국 아기 5명의 신약 치료 선례를 찾아냈습니다.

이 사연은 지난해 3월, SBS 보도로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그 이후 어떻게 달라졌을까.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재심의를 했습니다.

호빈이에게 투약이 허가됐고, 그렇게 1년 반이 지났습니다.

[호빈이 : 아빠가 좋아요. 엄마가 좋아요? 엄마.]

다시 만난 호빈이.

표정이 눈에 띄게 밝아졌습니다.

[호빈이 어머니 : 지금은 걸음걸이도 너무 자연스러워지고 일단은 아파하지 않는 것 같아요.]

아직 다리에는 혹이 남아 있지만, 가슴, 등, 엉덩이의 혹은 사라졌고, 무엇보다 뱃속 혈관이 회복돼 뇌졸중, 심근경색의 위험에서 벗어났습니다.

[이범희/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혈전 이런 것이 생길 수 있는 위험성, 그런 위험에서 해방됐다는 게 가장 큰 이득입니다.]

무엇보다 다행스러운 건, 호빈이의 투약을 계기로 다른 2세 미만 혈관 혹 환자 15명도 신약 치료에 들어갔다는 점입니다.

[호빈이 어머니 : 호빈이가 어떻게 자랐으면? 건강하게 받은 사랑 돌려줄 수 있는 사랑 많이 줄 수 있는 아이로 자랐으면 좋겠어요.]

영상취재 : 윤 형, 영상편집 : 김윤성

---

<앵커>

이 내용 취재한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Q. 재난적 약값?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신경외과 전문의 : 지금 호빈이와 다른 15명에게 신약이 허용된 건 보고드린 공식 용어로 동정적 사용이라고 합니다. 다른 치료법이 없어서 다급할 때 임시로 허용하는 건데 그래서 약값이 무료입니다. 하지만 신약이 정식 허가를 받게 된다면 약값이 문제가 될 겁니다.]

[호빈이 아버지 : 정식 허가 후 매월 4백만 원을 이제 하면 좋겠지만, 좀 그렇죠, 재정적으로….]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신경외과 전문의 : 한 해 수천만 원이 들 수 있는데 보험 적용 못 받는다면 재난적 의료비가 되겠죠.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자살과 재난적 의료비 가구 비율에서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습니다. 희소병에 대한 공적 보험이나 민간 펀드 지원이 적은 게 이유 중 하나로 분석됩니다.]

Q. 다른 나라는?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신경외과 전문의 : 영국, 미국, 캐나다 등은 희소병 환자, 특히 어린이에게는 신약 지원이 적극적입니다. 영국은 고가의 약 폭넓게 지원하고요, 미국도 희소병 어린이와 18세 미만 암 환자에 대한 공적 보험의 보장 수준은 높습니다. 약값 비싼 건 마찬가지인데 왜 그렇게 하느냐. 희소병 어린이들을 신약으로 빨리 치료하는 게 보험 재정 면에서 길게 보면 돈이 덜 든다는 판단이 있는 겁니다. 재난적 의료비의 짐을 나눠서 지는 선택, 우리도 이제는 서둘러야 할 것 같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 dongcharn@sbs.co.kr

인/기/기/사

◆ "몸 아파" 119에 주소도 말했는데…일주일 후 숨진 채 발견

◆ 쫄딱 젖은 아들은 엉엉…2층서 물 퍼부은 엄마에 찬사, 왜

◆ 신호 대기 중 미화원에 불쑥…"버려달라고?" 봉지 속 반전

◆ 땅 파다가 갑자기 활활…7년 넘게 불타던 포항 명물 근황

◆ 펑 하더니 유리 뒤덮었다…도로 달리다 오물 비 테러 순간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앵커>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159
어제
2,066
최대
3,806
전체
792,57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