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둔덕에 매뉴얼 어긴 안테나…국토부 "파악 중"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전해드린 것처럼 이 둔덕은 여객기의 착륙을 돕는 안테나, 로컬라이저를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단 설치해야 하는 위치가 국토부 매뉴얼을 어긴 걸로 확인됐습니다.
먼저 임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동체 착륙한 여객기는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를 넘어 안전 구역으로 밀려갔습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들이받았습니다.
이 구조물, 활주로 끝단에서 264m 떨어진 곳에 있었습니다.
흙더미로 둘러싸인 두터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뤄졌습니다.
좌우 길이 58m, 높이는 4m 정도였습니다.
이 구조물 위에 로컬라이저 안테나라는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 중앙선에 맞추도록 신호를 보내는 장비입니다 둔덕을 쌓은 이유는 활주로와 수평 높이를 맞추기 위한 걸로 보입니다.
안테나 지지대 토대는 지표면과 같은 높이어야 하는데 무안 공항은 활주로 끝단이 지난 뒤 지면이 낮아집니다.
[박찬근/한국항공대 교수 : 둔덕을 쌓고 그 구조물을 올려서 활주로랑 같은 높이로 맞추지 않았을까 그렇게 보입니다.]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장애물이 생겼는데 안전거리도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국토부 매뉴얼항행 안전시설 보호 업무 매뉴얼에 따르면 안테나는 활주로 말단에서 300~600m 사이 지점에 설치해야 합니다.
[박찬근/한국항공대 교수 : 무안공항은 포장돼 있는 면이 다른 공항보다 런웨이 끝나고 나서 포장돼 있는 면이 짧다 보니까.]
결과적으로 이 단단한 구조물에 충돌해 여객기는 폭발했습니다.
지표에 안테나만 설치됐거나 구조물을 뚫고 갈 수 있었다면 참사는 막을 수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겁니다.
국토부는 비슷한 사례가 많다면서도 자세한 규정은 파악 중이라고 했습니다.
[주종완/국토부 항공정책실장 : 해외 사례도 미국의 LA공항이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높이 올렸고요. 규정들에 대해선 파악하고 말씀 드리겠습니다.]
안전을 위해 만든 시설 때문에 안전이 위협받았습니다.
임지수 기자 yim.jisoo@jtbc.co.kr
[핫클릭]
▶ 끝내 출근하지 못한 과장님…최초 목격자 "눈 감으면 떠올라"
▶ 尹, 최상목에 건넨 쪽지엔 비상입법기구 예비비 마련하라
▶ "아들, 내일 오지?" 애타는 물음에…끝내 사라지지 않은 1
▶ 제주항공, 참사 다음날 또 긴급회항…원인 알고보니
▶ 11공수도 계엄 이튿날 밤샘 대기…"총기 품에 안고 자라고 해"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이거라도 해야 할 것 같아"…공항서 따뜻한 위로 이어져 [소셜픽] 24.12.31
- 다음글"곧 사고 나겠네"…제주항공, 지난달에도 승객 태우고 엔진 수리 24.12.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