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민연금 평균 수급액 67만원…작년 물가상승률 2.3% 반영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올해 국민연금 수급자의 수급액이 지난해보다 2.3% 오른다. 지난해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반영해서다.
국민연금뿐 아니라 기초연금과 공무원연금·사학연금·군인연금 같은 특수직역연금 등 다른 공적연금의 수령액도 2.3% 인상된다.
3일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 통계청 등에 따르면 관련 법령에 근거해 각종 공적연금 수급자는 올해 1월부터 작년보다 2.3% 더 많은 연금액을 탄다.
작년 소비자물가 변동률2.3%을 반영해 공적연금 지급액을 조정한 데 따른 결과다.
이렇게 오른 금액은 올해 12월까지 적용된다.
국민연금법 51조와 공무원연금법 35조, 기초연금법 5조는 "전년도의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반영해 금액을 더하거나 빼서 매년 고시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학연금은 공무원연금법을 따른다.
작년 9월 현재 노령연금수급 연령에 도달해서 받는 일반적 형태의 국민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급액이 65만4천471원이었는데, 올해 월평균 수급액은 2.3%1만5천52원 인상돼 66만9천523원이 된다.
노령연금 최고액 수급자작년 9월 현재 월 289만3천550원의 경우 올해 6만6천551원 올라 월 296만100원을 받게 된다. 거의 매달 300만원에 육박하는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셈이다.
기초연금은 작년에 월 최대 33만4천814원을 받던 데서, 올해는 기준연금액 지원 단가가 2.3%7천700원 올라 월 최대 34만2천514원을 받는다.
이처럼 공적연금 수급자들은 물가변동률을 반영해 해마다 수급액을 상향 조정하도록 한 장치 덕분에 물가 인상으로 화폐가치가 떨어져 실질 연금액이 추락함으로써 입을 수 있는 손해를 피할 수 있다.
개인연금 같은 민간 연금 상품은 물가 변동을 반영하지 않고 약정 금액만 지급한다. 따라서 물가 상승에 따라 실질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31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소비자 물가동향 자료를 보면 물가는 2013년 1.3%, 2014년 1.3%, 2015년 0.7%, 2016년 1.0%, 2017년 1.9%, 2018년 1.5%, 2019년 0.4%, 2020년 0.5% 등으로 0∼1%대에 머물러 물가 상승을 반영한 공적 연금액은 그다지 오르지 않았다.
하지만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 등으로 고물가 흐름이 이어지면서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금액도 많이 올랐다.
shg@yna.co.kr
끝
-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젤리 먹다 기도 막힌 7세 외국인 어린이 살린 명동역 직원들
- ☞ 펜션·식당 예약 줄취소에도 "유족 먼저"…커피나눔 나선 주민들
- ☞ 김상식의 베트남, 미쓰비시컵 결승 1차전 태국에 2-1 승리
- ☞ 민주 "대통령이 직접 평양에 무인기 침투 지시 제보받아"
- ☞ 노행석 전 광주FC 수비수 별세
- ☞ 베란다 매달려 여성 집 훔쳐본 성범죄 전력자 미체포 논란
- ☞ 전통시장 돌진 70대, 치매 진단받고 작년 초부터 약 안 먹었다
- ☞ "스톱! 스톱!"…LA공항 활주로서 항공기 2대 충돌할 뻔
- ☞ 50여년 의존 러 가스 끊긴 유럽…몰도바 나무땔감 등장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관련링크
- 이전글"해장에 딱~" "디톡스 해라"…온라인서 구치소 식단 올리며 尹 조롱 25.01.03
- 다음글국내 LCC 조종사 10명 중 9명은 경력 10년 미만 25.01.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