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박스 일부 훼손, 해독 지연 가능성…"미국 맡겨야 할 수도"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블랙박스 일부 훼손, 해독 지연 가능성…"미국 맡겨야 할 수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6회 작성일 24-12-30 07:41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이번 사고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비행기록과 사고 당시 음성이 담긴 여객기의 블랙박스입니다. 국토부가 회수했지만, 일부 훼손이 있어서 분석이 가능할 지는 확인해야 합니다.

조민중 기자입니다.

[기자]


항공기에는 두 개의 블랙박스가 있습니다.

항공기 고도와 랜딩 기어 상태 등을 기록하는 비행기록장치와 기장과 부기장의 대화를 녹음한 음성기록장치입니다.

국토부는 두 개를 모두 사고 현장에서 수거했습니다.

[주종완/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 블랙박스 2개 비행기록장치하고 음성 장치를 수거했고 일부는 잔해가 약간 남아있는 것들은 추가로 수거를 해서 정밀 조사를 시작할 계획입니다.]

수거한 블랙박스 가운데 음성기록장치는 외형 그대로 수거됐지만 비행기록장치는 일부 파손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토부는 블랙박스를 오늘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로 이송해 분석 가능 여부를 확인할 예정입니다.

두 장치가 아무 문제없다면 해독작업은 일주일 안에 가능하지만 문제는 내부가 파손됐을 경우입니다.

훼손 정도가 심하면 미국 교통안전위원회에 맡겨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분석작업이 6개월 이상 걸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유경수/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관 : 통상 조사 기간이 상업용 여객기 같은 경우는 짧아도 6개월 길게는 큰 사고 같은 경우 3년씩 걸리기도 합니다. 기체 문제, 조종 절차 문제 또 외부 요인 문제 복합적으로 사고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그걸 규명하려면 굉장히 장시간이 소요됩니다.]

이처럼 블랙박스 해독 작업이 늦어지면 전체 조사과정 전반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 6개월을 넘어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2014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사고의 경우 원인 조사 보고서가 나오기까지 11개월이 걸렸습니다.

[영상편집 이화영]

조민중 기자 sms16@jtbc.co.kr

[핫클릭]

"메이데이! 메이데이!" 4분 뒤 폭발…사고 상황 재구성

생존자 "깨보니 구조돼 있어"..전신마비 가능성 있어 집중관리

"의자 젖히고"…수동으로 랜딩기어 내리지 못한 이유

"제발, 제발, 제발"…사망자 이름 불릴 때마다 통곡만이

"좀 이상해" 촬영하자마자…"열기가 얼굴까지 덮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356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7,76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