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시진핑이 감추려 해도…3·1운동이 중국 5·4운동 자극 입증 문헌... >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단독] 시진핑이 감추려 해도…3·1운동이 중국 5·4운동 자극 입증 문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3-01 04:31 조회 47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죽음 두려워 않는 조선인들에 경의"
5·4 선언문 쓴 쉬더헝의 글 첫 공개
[단독] 시진핑이 감추려 해도…3·1운동이 중국 5·4운동 자극 입증 문헌 나왔다

"조선인들은 참으로 피를 흘리고 참으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조선인에 대해 온몸을 땅바닥에 던질 정도로 경의를 표한다. 쉬더헝, 존경스럽고 탄복할 만한 조선인 中"

1919년 일제 치하 한반도에서 들불처럼 일어난 3·1운동 소식은 곧바로 중국 베이징까지 전해졌다. 중국 사회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지식인과 학생들이 모인 베이징대도 예외는 아니었다. 전근대적인 국민의 삶을 계몽하고 열강의 간섭에 저항해야 한다는 시대의 요구 앞에서 번뇌하던 중국 지식인·학생들은 식민지배를 받던 이웃나라 조선의 민중투쟁에 주목했다. 3월부터 5월까지 3·1운동의 전개 과정을 낱낱이 보도했고, 기미독립선언서 전문까지 소개하며 높게 평가했다.

두 달 뒤인 5월 4일 베이징에서 5·4운동이 일어났다. 주도 세력은 3·1운동을 찬탄한 지식인·학생들이었다.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 학생 3,000여 명이 모여 시작된 시위는 전국으로 번져 동맹 휴학과 사상운동인 신문화운동으로 발전했다. 중국 대중이 성장하고 청년·학생 운동이 확산하는 등 민중의 개혁과 각성으로 이어진 5·4운동은 중국 현대사의 분기점으로 평가받을 정도로 중국사에서 의미가 크다.

7af93098-7fdc-4e38-83d4-bf3fb73fff30.jpg

그러나 중국은 3·1운동과 5·4운동의 연결고리를 지웠다. 10여 년 전까지 한국과 중국 학계는 3·1운동이 5·4운동에 중요한 기폭제였다는 것에 공감했지만, 시진핑 체제의 중국에서 자국 중심주의가 심화하면서 중국의 태도가 바뀌었다. 시진핑 국가주석 집권 2기인 2017년 중국은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했는데, 일반고교 역사교과서 중외역사강요는 5·4운동을 한 챕터에 걸쳐 비중 있게 다루면서도 3·1운동은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는다. 한국일보는 3·1절 105주년을 맞아 중국의 5·4운동 주역들이 3·1운동을 격찬하고 중국인들의 저항을 호소한 문헌 자료를 입수해 언론을 통해 최초로 공개한다. 중국의 주변국 역사 축소를 반박하는 직접적인 증거다.

5·4운동은 천두슈陳獨秀로 대표되는 베이징대 교수진의 지원 아래 푸스녠傅斯年, 천조우주陳兆疇, 쉬더헝許德珩 등 베이징대 학생들이 주도했다. 이들은 1919년 3월부터 5월에 거쳐 3·1운동을 근거로 중국인의 궐기를 추동하는 글을 신문과 잡지에 다수 남겼다. 이들은 "고려인들의 거사를 보면서 다시 중국의 상황을 돌아볼 때, 참으로 부끄럽다"신무 부끄럽구나며 중국의 상황을 성찰했고, 3·1운동을 "민중의 뜻만을 사용하고 폭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세계 혁명의 신기원을 열었다"천두슈, 조선 독립운동에 대한 감상고 칭송했다. "조선독립운동의 정신, 만세!"푸스녠, 조선독립운동의 새로운 교훈라고 외치며 조선의 승리를 지지했으며 "과거의 타인의 권력 밑에 겁에 질려 무릎 꿇었던 민족들이 분분히 일어나서 해방을 요구할 것"천조우주, 조선독립운동에 대한 감언이라 기대했다.

문헌 자료는 문영걸 미도중국연구소 소장베이징대 종교학 박사이 중국국가도서관, 베이징대 도서관 등에서 발굴한 것으로, 그 원문과 전문 번역을 한국일보닷컴에 게재한다. 학계에서 제목과 일부 문단이 인용된 적은 있으나 원문을 포함한 전문이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숙명여대 명예교수은 "3·1운동에 대한 중국 지식인들의 찬탄과 흠모가 있었다고는 들었으나 원문 자료를 발굴함으로 그 실상을 엿볼 수 있게 돼 학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대한민국학술원 회원·전 국사편찬위원는 "이 자료들은 중국 현대화의 기점이라고 하는 5·4운동에 한국 3·1운동이 영향을 끼쳤음을 증명하는 결정적인 증거"라고 말했다.

5·4운동 선언문 쓴 쉬더헝의 글 최초 공개

aedca1e3-6602-4da8-9e05-33aa317ab559.jpg

존경스럽고 탄복할 만한 조선인可敬可佩的朝鮮人은 그간 국내 학계에 제목만 전해질 뿐 전문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글이다. 베이징대 학생 리더인 쉬더헝훗날 중국 최고 정치 자문 기구인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역임이 잡지 국민 제1권 제4호1919년 4월호에 추성楚僧이라는 필명으로 썼다. 국민 제1권 제4호는3·1운동 특집호로 발행됐는데, 3·1운동 전개 과정을 자세히 소개하고 민족 대표 33인의 기미독립선언서 전문을 실었다.

쉬더헝은 3·1운동에 대해 "이 얼마나 문명한 거동이고, 얼마나 위대한 정신인가!"라고 치켜세우며 "우리가 이들 조선인들에 대해 얼마나 탄복해야 마땅하며, 또 얼마나 부끄러움을 느껴야 마땅할까" 되물었다. 당시 그는 3·1운동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소식도 발 빠르게 알고 있었는데 "듣자 하니 현재 조선은 이미 공화국가를 세웠다고 하고, 이당휘임정 초대 국무총리였던 이동휘를 잘못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박사를 총통으로 선출했다고 한다"며 "참으로 우리 동아시아의 가장 통쾌한 일이고, 가장 영광스러운 일"이라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일제를 향해서는 서슬 퍼런 비판의 언어를 쏟아냈다. 일본인들을 가장 하등의 민족 인류의 공적이라 칭하며 "저 2,000만의 기개가 있는 이들한국인들을 모조리 죽일 수 있겠느냐"며 "전부 죽일 수 있다 하더라도 전 세계 모두의 눈을 속일 수 있느냐"고 추궁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의기양양하겠으나 20, 30년이 지난 후에는 조선에 비교할 수도 없이 뒤떨어져 있을 것"이라 꼬집었다. 일제에 영합하여 아부하는 중국인에 대해서는 "토끼가 죽으면 여우도 비참해진다"고 경고했다.

29d02a84-493a-4440-b1a3-a19c88479317_300.jpg

쉬더헝은 평범한 학생이 아니었다. 5월 4일 톈안먼에서 울려 퍼진 선언문의 초안을 작성하고 발표하는 등 학생 운동 세력의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3·1운동에 대한 인식은 베이징 학생계 선언이라 불리는 5·4운동 선언문에도 녹아들었다. "... 조선인들도 독립운동을 하면서 부르짖었다. 독립을 하지 못하면 죽음이 있을 뿐이다. 모름지기 국가가 망하고 영토를 넘겨주어야 하는 문제가 눈앞에 닥쳐도 국민이 큰 결심을 하여 끝내 일어서지 않는다면, 이는 20세기의 열등 민족이며, 인류의 대열에 서 있다고 말할 수도 없다."

발굴 문헌을 검토한 신 교수는 "당시 중국의 각 대학마다 쑨원의 중화혁명당과 비공식적으로 연계된 학생운동 조직 학생구국회가 생겨났는데 이 글이 실린 잡지 국민은 베이징대 학생구국회가 사상의 확산을 위해 펴낸 월간지"라며 "국민 편집실에서 학생구국회의 푸스녠, 쉬더헝 등 대학생들이 5월 2일 시위운동을 결정했는데, 어떻게 5·4운동에 3·1운동이 미친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있는가"라고 말했다.

24e2b669-f454-495d-8ceb-5607988bb1ef.jpg

자국중심주의 역사 서술 고집하는 중국

동북공정 이후 중국은 주변국의 역사를 노골적으로 축소해왔다. 동북아역사재단에 따르면, 2006년에 나온 중국 세계근대현대사 검정교과서인민교육출판사는 3·1운동을 서술하면서 "중국 인민의 지지와 성원을 받았으며 신청년 등 간행물에서 수십 편에 달하는 보도와 글이 발표됐다"면서 독립선언문도 수록했다. 이 내용은 2010년에 사용된 교과서까지는 확인된다. 현재 이 교과목은 3·1운동 내용 전체를 덜어내 일체 다루지 않는다.

우성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중국의 국정교과서 체제에서 자국 중심 역사교과서 서술이 학생들에 미치는 파급력은 무척 크다"며 "이러한 역사 인식이 이웃한 국가와의 상호 이해와 우호 교류를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는 만큼 중국 학계와의 공동 연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일보는 이번에 발굴된 원문을 번역과 함께 전체 공개합니다. 이 링크를 누르면 한국일보 닷컴으로 이동합니다. 이동이 되지 않는다면,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다음 URL을 입력하세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22016180005710

1fedcd28-ab4b-4340-b3b5-1056e99ab338.jpg


e78aecf7-b965-4bda-a415-51698a01cf47.jpg



이혜미 기자 herstory@hankookilbo.com



관련기사
- 전공의 복귀 다리 끊겼다... 행정·사법 처리와 파국의 현장 남아
- 새내기 소방관 덮친 화마 상처 20년 지나도 아물지 않아
- 메이저리그 슈퍼스타 오타니, SNS로 깜짝 결혼 발표
- 남편상 사강 오빠 없는 결혼기념일…마음 찢어졌다
- 손흥민-이강인 갈등 입 연 차범근 세대갈등 잘 풀어야...어른 역할 중요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