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원…표를 끊어야 하나, 뮤지컬을 끊어야 하나
페이지 정보

본문
![뮤지컬 알라딘. [사진 에스앤코]](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5/02/04/6d2abe37-098c-4c4e-87c6-29fa7bf6ee0c.jpg)
뮤지컬 알라딘. [사진 에스앤코]
공연 가격이 오르는 ‘티켓플레이션티켓인플레이션’이 이어지며 관객 부담이 커지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공연예술관람료는 1년 전보다 2.9% 올랐다.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6%을 훌쩍 넘어선다.
공연예술관람료는 지난 2023년 1~3분기에 전년 같은 분기보다 5.9%씩 올랐다. 코로나19 기간 억눌렸던 관람객들의 ‘보복 소비’ 바람을 타고 공연 시장이 크게 성장하면서 푯값도 치솟았다. 지난해 상반기엔 상승세가 주춤했지만 같은 해 3·4분기 들어 오름폭이 커지는 모양새다.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사진 쇼앤텔플레이, T2N 미디어]](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5/02/04/5f22e8a2-0341-4064-a177-c5e7bb0930fb.jpg)
연극
공연 기간이 짧은 아이돌 가수나 해외 유명 발레단 등의 공연 가격은 이미 20만원을 훌쩍 넘어섰다. 오는 7월 4~6일 서울 공연 예정인 ‘영국 로열 발레 : 더 퍼스트 갈라’ 최고가는 28만원으로 책정됐다. 비교적 저렴했던 연극 역시 좋은 좌석에서 관람하려면 10만원 가까운 티켓 값을 지불해야 한다. 현재 상영 중인 ‘세일즈맨의 죽음’, ‘바닷마을 다이어리’ 티켓의 최고가는 8만8000원이다.

신재민 기자
가뜩이나 경기 부진 장기화로 소비자 지갑이 얇아지는 상황에서 공연 가격 고공 행진은 자칫 한국 공연계의 성장세를 가로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안호상 세종문화회관 사장은 지난달 21일 ‘2025시즌 사업발표회’에서 “올해 가장 큰 걱정은 경제적 불황과 소비심리 위축”이라고 토로했다. 시장 위축 신호는 수치로도 드러난다. KOPIS에 따르면 지난해 뮤지컬 티켓 전체 판매액은 465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3% 늘었지만, 티켓 판매 수784만건는 되려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신재민 기자
이럴 때일수록 고비용 구조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원종원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는 “뮤지컬의 경우 액면가는 영미권과 한국이 비슷하지만, 국민소득 수준 차이로 한국의 체감 티켓 가격이 더 높을 것”이라며 “스타 배우 의존도를 줄이면서 장기 상연을 통해 제작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가격 인하가 가능한 여건 마련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좋은 이름? 올핸 최악…"을사년 이 한자 절대 금지"
▶ 尹 정말로 수사 잘했나…"한동훈 꼭 필요" 왜
▶ 홍상수·김민희 또 일냈다…임신 이어 놀라운 소식
▶ 서로 손 묶인 채…빌딩서 여성 2명 추락사, 무슨 일
▶ 구준엽 아내 돌연 사망…결혼 3년 만에 사별, 뭔일
▶ "필리핀女 섹스 인형 취급"…생부 DNA 찾는 사연
▶ 알몸으로 모텔 감금…악몽의 20일 충격 가혹행위
▶ "소녀 1400명 성폭행 당했다"…그루밍 갱 충격
▶ 제천서 50대女 사망…용의자 전 남편 야산서 사망
▶ "불났다!" 승객이 열차 비상구 열었다가 참사, 뭔일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남현 ha.namhyun@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입춘 하루 만에 체감온도 -20도…"한파 끝난 줄 알았는데" 25.02.04
- 다음글尹, 정치인 체포 지시 있었나…여인형·홍장원 등 탄핵심판 증언 25.02.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